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질무렵
성하
d라이브러리
"
한여름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07
후텁지근한
한여름
밤의 무더위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공포영화나 무서운 얘기를 접하는 것이다. 온몸에 소름이 돋을 만한 내용이라면 더욱 안성맞춤이다. 우주공간에도 속살까지 시원하게 해줄 끔찍한 형상을 한 천체가 있을까.지난해 4월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06
곧 에베레스트 등정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한다.에베레스트와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한여름
에도 두꺼운 옷을 준비해야 할 정도로 기온이 낮다. 자외선도 강해 화상을 입기 십상이다. 무엇보다 힘든 것은 산소 부족이다. 고산지대는 1천8백-6천m 사이의 높이를 말한다. 해수면 수준의 대기압은 7백6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01
것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다. 하지만 이 유성우의 유명세는 단지 별을 보기 용이한
한여름
에 펼쳐진다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가장 특이하고 흥미로운 유성우는 바로 용자리 유성우다.용자리 유성우는 과거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불렸다. 이 유성우의 복사점(하늘에서 유성우가 쏟아져 나오는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09
흔히 볼 수 있다. 등(藤)이란 이름의 나무다. 아카시나무 비슷한 잎을 수없이 뻗어
한여름
의 뙤약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든다.그러나 나무라는 이름이 부끄럽게 처음부터 곧게 일어서지 못하고 기어다니기 전문인 ‘뼈대 없는 집안’의 자손이다. 숲 속의 커다란 나무 밑에서 아무리 이리저리 ... ...
미리가본
한여름
의 별축제
과학동아
l
200208
투자해 우주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서울 신촌의 서강대에서 열리는‘
한여름
의 별축제’가바로 그것이다. 고 박승철씨가 국내는 물론 세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촬영한 천체 사진을 통해 우주의 아름답고 신비한 모습을 느낄 수 있으며, 천체의 운동에 대해 몸 전체로 느끼며 ... ...
8월
한여름
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08
두가지 장점이 있다. 하나는 유성우가 출현하는 시기가 사람들이 밤에 활동하기 편리한
한여름
이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유성을 관측할 수 있는 시기가 매우 길다는 점이다.3대 유성우 중 다른 두 유성우는 매우 추운 한겨울밤에 나타나기 때문에 사람들의 눈에 띄기가 사실상 어렵다. 또 유성이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08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이 붙여진 다른 천체와 달리 이들에게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
한여름
밤의 꿈’,‘폭풍우’ 등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이 붙여졌다. 위성의 운동을 바탕으로 천왕성이 매우 기묘하게 누워서 태양 둘레를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1829년에 밝혔다.천왕성의 고리는 재미있게도 ... ...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05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 조건으로 1백일 이상 사용하면 변압기 수명이 25% 감소하게 된다.
한여름
철 전력수요는 다른 계절의 2배 가량이 되므로 이 기간을 기준으로 용량을 설계하면 다른 계절에는 정격용량의 50%만 사용해 운전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하지만 변압기의 용량을 낮추면 발생하는 열로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12
더이상 달릴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여름은 달리기 힘든 시기다. 따라서 마라톤 경주가
한여름
에 실시되지 않는다.여름에는 스피드를 올리고 대신에 단시간에 달리기를 끝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른 아침이나 저녁 무렵과 같이 시원한 때 나무그늘처럼 시원한 장소를 쾌적하게 달리는 것이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11
문제(1)의 정답은 ○가 되겠다.문제(2)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 문제는 단지 은하수는
한여름
과 한겨울 자정 무렵 머리 꼭대기인 천정에 떠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봄과 가을 깊은 밤에는 은하수가 높이 뜨지 않는다. 이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의 공전궤도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