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격"(으)로 총 1,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수학으로 보글보글~ 소문난 파스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반죽은 긴 막대 모양으로 만들고, 빗금을 쳐서 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냈습니다. 두 번째 반죽은 첫 번째 반죽과 똑같이 막대 모양으로 만들고, 가운데를 제외한 양 끝에만 홈을 세로로 냈습니다.이렇게 홈을 낸 납작한 반죽 2개를 물에 넣고 7~8분 동안 끓였더니, 첫 번째 ... ...
- [게임디자인씽킹] 런게임은 어떻게 만들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정의해 사용합니다. 게임 매니저 오브젝트는 게임 시작과 종료를 알리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장애물 오브젝트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게임 매니저 오브젝트는 게임 화면에 나타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이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캐릭터는 스크래치 코드를 이용해 달리거나 점프하는 것처럼 ... ...
- [긱블x과학동아] 게임 속 지팡이의 화려한 변신, 버블건 & 5연발 리볼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홈 정도밖에 이동하지 못합니다. 방아쇠를 당겨 회전식 탄창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홈의 간격만큼만 돌아가고 쇠 구슬에 의해 멈추게 되죠.정렬된 총알을 발사할 힘은 이산화탄소 카트리지로 얻었습니다. 이전에도 몇 차례 소개했듯 이산화탄소 카트리지는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내는 데 유용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건물에 필요한 엘리베이터 개수 찾기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총 1만 명의 직원이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1층 로비에 도착하며, 온 순서대로 엘리베이터에 탄다고 가정했습니다. 또 엘리베이터가 가득 차면 목적지로 이동하며, 이때 사람들이 가고자 하는 층은 균일하게 분포돼 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한 층을 ...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결과, 나무에서 탄소-14 스파이크가 나타나는 간격과 18개의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간격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로버트 교수는 “지구 대기의 탄소-14 비율이 높아진 원인은 태양 플레어와 초신성 폭발이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초신성 폭발의 가능성이 커진 ... ...
- [긱블x과학동아] 패턴 따라 다른 소리 나는 '바코드 연주기'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있고, 중간중간 전압이 급격히 오르내리는 구간이 있습니다. 이 오르내리는 횟수나 간격이 바코드 패턴에 따라 달라졌습니다.정말 맞는지 소리로 확인해봅시다. 우선 수드래곤 님이 발견한 지점과 민바크 님이 발견한 그라운드에 각각 전선을 연결해줍니다. 납땜이 필요합니다. 민바크 님의 눈이 ... ...
- [수학뉴스] 한반도 해양쓰레기는 북태평양 환류대로 간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일어나는 반응을 추적하기 위해 만든 이론입니다. 현재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긴 시간 간격을 두고 벌어지는 반응 과정을 설명하는 데도 사용하고 있죠. 연구팀은 오랜 시간 동안 바다 위를 표류하는 부표에 주목했고, 환류의 세기에 따른 부표의 움직임을 기록한 위성데이터에 TPT를 적용했습니다. ... ...
- [매스크래프트] #16. 학익진 전법의 일등공신 '도형의 닮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준비하고 일본 배에 가까운 쪽에는 빨간 막대기를, 먼 쪽에는 파란 막대기를 2.5m 간격으로 세웠습니다. 빨간 막대기의 끝(점 D)과 일본 배의 가장 높은 곳(점 A)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직선은 빨간 막대기의 2m 뒤에서 바닥과 닿습니다(점 E). 같은 방식으로 파란 막대기의 끝(점 G)을 지나는 직선은 2.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20%는 있어야 해요. 그러려면 약 4대의 카메라가 필요하죠. 주어진 길이의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수를 심으려면 나무가 몇 그루 필요한지 계산하는 수학 문제와 비슷해요. 독도 일출 포착 비결은 삼각함수권 작가님은 2014년에 촬영한 울릉도에서 바라본 독도의 일출 사진으로도 이름을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반복되는 신호입니다. 음의 높낮이를 복잡하게 표현할 필요 없이, 전압을 ON/OFF하는 시간 간격만 조절하면 음의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죠. 신호가 명료해서 잡음이 적고, 전압이 OFF되는 시간도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도 크지 않습니다.키쿠 님은 오디오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NE555라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