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분리도
감성
민감도
d라이브러리
"
감도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
는 ASA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
도 2배가 된다물체가 유체(流体)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과, 두 물체가 접촉하면서 움직일 때 물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힘의 총칭 앞의 경우 항력은 흐름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 방향의 수직으로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용해 단백질이나 DNA 등의 생체분자를 나노그램(1ng=10-9g)까지 검출할 수 있는 고
감도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나노바이오 분야의 국제 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6월호에 발표됐다.분석하려는 생체 분자에 자성을 띤 나노입자를 붙이고 폭 100, 높이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안에 들어 있어 통풍기를 돌리면 주요부의 주위에 일정한 빠르기로 기류가 생기므로
감도
도 좋고 외부의 풍속 변동 영향도 받지 않는다 L-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 C와 동일한 물질로서 항괴혈증작용을 가진다 D체에는 그런 효력이 없다 물에 녹고 열에 약하며 환원력이 강한 물질로서 산화환원전위는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등에 사용된다금속을 Nb 등의 초전도체로 만든 것은 슈퍼 쇼트키 다이오드라고 불리며, 고
감도
·저잡음 등의 특색이 있다대표적인것은 셀렌 광석 검파기이다 열전자방출에서 양극판 전압의 오름에 따라 포화전류가 더욱 증가하는 현상 W 쇼트키가 발견했다 멱급수의 수렴영역을 결정하는 수치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複合陰極)을 사용한 광전관 감광곡선은 대체로 파장 8,000 · 3,500의 두 곳에서 최고이다
감도
는 높고 백열전구 1lm(루멘)에 대해 20~50μ이다가시광선 · 자외선 · 적외선에 예민하므로 토키텔레비전 · 사진전송 · 광선전화 등에 응용된다핵폭발실험에 의해 생기는 방사성 낙진 속에도 들어 있기 때문에 ... ...
가장 어린 은하는 겨우 5억살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상태라고 할 수 있다. I 쯔비키 18의 나이를 알 수 있었던 것은 허블망원경의 뛰어난
감도
때문. 오래된 은하의 내부에는 수명이 다해 가는 적색 거성이 존재한다. 또 성간 가스의 조성도 무거운 원소의 비율이 높다. 별 내부의 핵융합 반응과 초신성 폭발로 인해 가벼운 원소가 많이 소모됐기 때문이다 ... ...
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활용해 생체분자 작동의 비밀을 밝히고 있다. 이를 응용해 초고
감도
바이오센서를 만들고 바이오나노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생명체가 영감을 주고 나노기술이 구현하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가 21세기를 바꾸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변화를 사람이 알아챌 수 있는 방법이 함께 개발돼야만 한다. 그렇지 못하면 아무리
감도
가 뛰어난 생체분자도 센서로서 무용지물이다.생체분자처럼 자기가 알아보는 분자하고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부분을 ‘1차 트랜스듀서’ 라 부르고, 분자간의 결합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는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을까. 과연 이들이 영화에 나오는 나노기계처럼 발전할 수 있을까.생명체만큼이나
감도
와 정확성이 높은 바이오센서의 개발도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중요한 한 분야다. 미량의 시료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하고 병균이나 오염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미래의 의학과 환경분야를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초대형망원경(VLT)에 설치된 고
감도
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처리해 이미지를 얻었다. 행성 추정 물체는 크기가 목성의 5배 정도이고 명왕성보다 큰 공전궤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이 천체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대기에 수증기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