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으)로 총 2,0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물을 빼야 하지요. 마인크래프트에서 물은 고정된 물과 흐르는 물로 구분되는데, 바다나 강 지역은 보통 고정된 물로만 이뤄져 있어요. 고정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선 물을 양동이로 퍼내거나 다른 블록을 설치한 다음 그 블록을 다시 부수면 돼요. 예를 들어 바닷속에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육면체 ... ...
- [특집] 기후 이민을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결과 가장 심각한 곳은 아프리카 대륙이었습니다. 보고서는 “평균 기온이 올라가고 강우량이 줄어들면서 아프리카의 경제 생산량과 성장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며 “세계의 다른 지역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미 아프리카에서는 기후 이재민이 생기고 ... ...
- [시사기획] 기후변화 따라 진화했나, 역대급 태풍 힌남노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힌남노는 역대급으로 강력했다. 제11호 태풍 힌남노는 8월 28일 서태평양 중위도 해역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 이후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대만을 거쳐 한 ... 한편 대피 훈련과 교육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기후변화 시대에 방재 대책을 전반적으로 강화하는 일은 이제 생존이 걸린 문제다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않고 자폐와 장애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면 논의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강병철도서출판 꿈꿀자유, 서울의학서적의 대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됐다. 현재 캐나다 밴쿠버에 거주하며 번역가이자 출판인으로 살고 있다 ...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사람은 도시를 흐르는 강을 따라 산책하기로 했다. 오래된 다리 밑으로 고요히 흘러가는 강을 보며, 스승은 또 감상에 빠졌다.“있잖아, 케이.”어둠에 휩싸인 다리에는 두 사람뿐이었다.“바이블을 보면 신이 인간을 자신의 형태로 빚었다고 하거든.”제이는 신앙이 없었다. 그러나 다 해진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현실적인 꿈은 없었어요. Q. 한국에 온 적 있나요? A. 연구, 강의 목적으로 여러 번 방문했습니다. 한국은 정말 편안하고 편리한 나라예요. 또 자연이 너무 놀라워요. 제가 독일 베를린에 살 때 한국을 방문한 적 있었어요. 베를린은 대부분 평지로 이뤄져 있거든요. 그런데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거친 뒤 부교수, 정교수로 승진합니다. 그런데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뛰어난 연구와 강의 실력을 인정받아 2015년 조교수에서 바로 정교수로 임용됐습니다. 누구도 교수님의 정교수 임용을 놀라지 않았지만, 정작 본인은 학생들에게 “스스로 굉장히 놀랐다”고 이야기하셨어요. 컴퓨터과학은 ... ...
- [학창시설] 시인을 꿈꾸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때는 정신 차리고 학원에 등록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준비했어요. 학원에서 강의 듣는 건 힘들었지만, 수능은 전부 객관식이라 게임을 하는 것 같기도 해서 재밌게 공부했어요. Q. 좋아하는 과목은 뭐였나요? A. 언어, 영어, 사회 그리고 과학을 좋아했어요. 책을 읽으면 자연스럽게 이해할 ... ...
- [엄마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글쓰기 능력, 예술적 창조성, 느긋함”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우리의 저녁 밥상은 히로나카 선생님의 이야기로 배가 불렀다. 내용도 이해를 못 하는데 강의 노트를 만들라는 선생님의 지시나, 생전 처음 논문이라는 것을 써 보는 경험이나, 며칠을 함께 생활하며 수학자의 24시를 보여 주시던 선생님 이야기가 우리 밥상의 반찬이었다. 허덕거리면서도 신이 나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적어두고, 102쪽 분량의 강의 노트를 미리 준비해 오는 등 강의에 열정을 다했다”며, “강의 외 시간에도 항상 학생들과 어울리며 다양한 질문들에 답하고, 학생들의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고 회고했습니다. 여름학교 마지막 수업에서 뒤미닐-코팽 교수는 확률론의 수많은 난제를 정리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