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서로 수학 문제를 의논하거나 쉴 수 있어요. 파인홀이 하나 더 있다? 파인홀 5분 거리에는 1969년 이전까지 수학과가 사용하던 건물이 있어요. 1930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파인을 기리기 위해 ‘파인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지금의 새 건물이 생기면서 ‘존스홀’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심지어 아인슈타인 두상과 별개로 흉상도 하나 있어요. 고등연구소에서 도보 20분 거리에 아인슈타인이 살던 집도 있습니다. 이 집은 현재 고등연구소 소유인데, 비어 있는 상태예요. 집이 비어 있는 데에는 재밌는 일화가 있어요. 아인슈타인 이후 몇몇 학자가 그 집에 살았는데, 대부분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이 행성들은 현재 비교적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해 있다. 하나의 예외, 화성과 목성 사이만 빼고 말이다. 1766년 독일의 수학자 요한 티티우스가 처음 발표하고, 1772년 베를린 천문대장이었던 요한 보데가 정리한 ‘티티우스-보데’ 법칙에 따르면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딱 하나 있다. 거대 타원은하 3C 348이다. 헤라클레스자리 방향으로 약 21억 광년 거리에 있다. 이 은하는 헤라클레스 A 은하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물론 이 은하도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찍은 가시광 사진으로만 보면 다른 평범한 타원은하와 별반 다르지 않다. 나이가 많은 별들의 노랗고 붉은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등을 활용해 객체를 감지하는 기술로 해결해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레이저를 통한 거리 측정 기술인 라이다(LiDAR) 등의 기술도 개발 중이죠. 레이다, 라이다 기반의 객체탐지 기술은 피사체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실제로 현재 상용화된 많은 자율주행 차량이 카메라와 함께 레이다나 ... ...
- [에디터 노트] 배터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략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내야할 때 배터리의 도움을 받습니다. 배터리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길지 않지만 연비가 끝내줍니다. 저희 집은 연비가 두 배로 뛰었습니다. 연비가 높으면 그만큼 친환경적입니다. 동일한 모델의 내연기관 엔진을 하이브리드로 변환하면 주행 중 탄소 배출량이 20%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햅틱,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만졌을 때 나타나는 촉감 정보를 ‘센서’가 수집해서, 이 정보를 무선 통신 기술로 먼 거리까지 전달하면 진동을 만들어 동일한 촉감을 재현하는 거예요. 텔레햅틱 기술이 상용화되면, 미국에 유학을 가더라도 한국 집에 가족들이랑 남겨두고 온 강아지의 촉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이 기술은 ... ...
-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낭독했습니다. 비트겐슈타인이 이런 행동을 한 이유는 여전히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거리이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비트겐슈타인은 진리를 품은 것이 언어와 논리학이 아닌 생생한 삶의 체험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의 발전에 경도돼 있는 빈학파의 일원들에게 과학의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외곽이든 상관없이 모두 다 긴 파장의 붉은 적외선 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된다. 비슷한 거리의 다른 은하들과 비교해보면, 이들이 얼마나 붉은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12개의 붉은 은하 대부분은 원반이 누워있는 방향으로 관측되므로, 그만큼 별빛이 먼지를 더 많이 통과했을테니 ... ...
- [냠냠! 어수잼] '원'은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짠! 어때? 둥글게 생겼지? 나는 이렇게 생겨났어. 원은 중심에 있는 점에서 똑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수많은 점이 모여서 이뤄진 도형이야. 수학자들은 원을 연구하면서 중요한 부분에 이름을 붙여줬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