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소
티끌
사소
소량
기미
d라이브러리
"
극소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그로부터 1년 후 '엡슨텔레비안 ET-10'이라는
극소
극박형(極小極薄型) 액정컬러 TV(2인치, 몸체 16㎝×8㎝, 두께 3㎝)가 상품화 되었다. 이 미니사이즈의 포켓TV는 새로운 영상미디어로서 정보접근방식을 변경시켜 다가올 고도정보화사회에서 커다란 역할을 하게될 ... ...
PART5 전자재료 실리콘 시대가 붕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이를 대체할 신소재는?반도체 디바이스의
극소
화는 전자공학 진보의 상징이다. 그러나
극소
화의 한계에 도달한 지금 보다 고밀도 고속의 디바이스를 추구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또한 기록장치도 종래의 자성재료를 대체하는 자기광학디스크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집적회로의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반도체는 과학기술계의 스타인 셈이다.반도체는 스타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있다.
극소
극미의 세계를 추구하는 기술수준, 거대한 투자규모, 타산업에 미치는 영향력 등. 특히 손톱만한 칩 위에 수억개의 회로를 인각시키는 것은 기술의 극한을 이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한 나라의 첨단기술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973년 제1차 오일쇼크 이후 전 세계는 무절제하게 마구 쓰던 자원과 에너지의 소비를
극소
화 시키는데 전력을 투구하게 되었다. 여기에 메카트로닉스 기술이 기계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켜 줌으로써 문제해결의 큰 실마리를 가져다 주게 된 것이다. 특히 1978년 제2차 오일쇼크 이후 괄목할 것은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소형화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국부전압을 재는 탐색자로서 또 전류를 공급하는
극소
전극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지금까지 설명한 응용례는 '영상과정에서 대상물을 파괴하기 않는다'는 중요한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특정한 화학반응에 박차를 가하는 도구로서도 응용될 수 있다 ... ...
아시안게임 전산시스템 성공적 운영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DDP)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의 사용으로 경기결과처리능력향상, 시스템다운시 영향
극소
화 및 경기종목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경기운영 시스템을 구축했다.분산처리시스템은 앞으로 종목별 국내 국제경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88올림픽 등 대규모 세계대회에도 독립적으로 활용화될 수 ... ...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유선형에 가까운 자연낙하 상태의 물방울형상'을 도입해 만든 결과 Cd계수가 0.32로
극소
화됐다고 주장, 판촉작전에 대대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기아측도 내년에 나올 Y카가 이 점에서 뒤지지 않을 것이란 장담을 하고 있다.차체의 유선형화는 자연히 연비(연료소모에 따른 주행거리의 비율)를 좋게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저엔트로피 세계관에서의 지배적인 윤리관은 에너지 유출을
극소
화하자는 것이다. 과도한 물질의 생산과 소비를 지구상의 귀중한 한정자원을 복원할 수 없을만큼 감소 시킨다. 저엔트로피 사회는 물질의 소비를 억제한다. 변덕스러울 정도로 탐닉하는 욕망은 절제돼야 할 ... ...
기술교류는 첨단산업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몇미크론에서 판명된다. 피라미드나 만리장성이 극대세계의 불가사의라면 첨단산업은
극소
극미의 세계를 다루는 분야이다.자신을 스스럼없이 '작은 사나이'로 소개하는 대우통신의 박성규박사(47세)는 전자공학박사이면서 한국의 C&C(컴퓨터통신) 분야를 이끌어 가는 첨단 경영인이다. 그는 '모델 D' ...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그러므로 신도시의 건설이나 기존도시의 재개발과 확장을 계획할 때는 불리한 영향을
극소
화시키도록 기후적 측면을 고려해야만 한다. 즉 도시기후의 연구결과를 도입하여 공항 산업시설 시가지 주거지 녹지 등을 합리적으로 입지시켜야 한다. 도시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온상승현상 대기오염,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