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네트워크"(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매출의 성장 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그 결과 실제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스타트업의 성장 속도와 비슷한 예측 결과를 얻었다. 이 모형을 활용하면 스타트업의 성장 정도를 미리 분석할 수 있고,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 회사가 전략을 세울 때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캐글 중독자답게(?) 커뮤니티도 운영하고 있다. 국내 AI 관련 커뮤니티는 대부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 마련돼 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AI 커뮤니티인 ‘텐서플로우 코리아’와 ‘AI 코리아’ 역시 페이스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선임연구원이 운영하는 캐글 코리아에서는 1만 100 ... ...
- [이달의 책] 뉴호라이즌스호의 돌덩이 사진이 ‘갬성’ 돋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아래 선명한 하트 모양이 박힌 황토색 명왕성이 있었다. 그날 즉시 언론에, 그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온통 이 사진이 도배됐다.지구와는 멀고 먼 곳의 차갑고 무미건조할 것만 같던 천체에 사랑이 담긴 하트라니. 작디작은 명왕성의 크기가 더없이 귀여워지는 순간이었다.사람들은 그 위에 ...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들어갈 단어의 크기를 정하고, 문장 안에서 특정 단어 사이의 연결 관계를 수로 나타내 네트워크를 그리는 거죠.이렇게 이론과 실제 사례를 배운 뒤 참가자들에게 각자 데이터 요리를 만들어 보는 미션이 주어졌습니다. 손흥민 선수와 류현진 선수를 언급한 트윗을 모아 분석한 뒤 결과물을 제출하는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진을 공개했다. 반은 암컷 반은 수컷, 어떻게 가능할까 7월 27일 종합박물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공개한 톱사슴벌레는 마치 반으로 가른 듯 왼쪽은 긴 턱을 가진 수컷, 오른쪽은 턱이 짧은 암컷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컴퓨터 합성 사진이라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사실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행위를 찾는 것이다. 이것으로 가상머신이 발생시키는 가상 네트워크도 분석 가능해 네트워크 공격까지 막을 수 있다. 미래 클라우드에 맞는 보안 시스템 갖춰야이처럼 각국의 클라우드 보안 연구자들은 현재 이용되는 클라우드 기술의 보안을 강화해 안전하게 쓰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지금까지 기억력 감퇴와 가슴 통증 등 5개가 넘는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밝혔다. 코로나19의 후유증 사례는 해외에서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와 리즈대 연구팀은 중환자실에서 퇴원한 환자(중증 환자) 32명과 일반병동에서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된 기술”이라며 “LTE, 5G 등 네트워크 기술이 진보하면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도 발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 아마존웹서비스(AWS)는 2019년 5월 클라우드 기반 인공위성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인 ‘그라운드 스테이션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날개를 달 전망이다. AI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IT자원인 대규모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클라우드가 제공하기 때문이다. 김윤곤 ETRI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연구원은 “자비스 같은 다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를 만든다면, 하나의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은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소리와 영상 데이터의 시작점을 맞추어 주는 ‘동기화 네트워크’ 기술로 해결할 수 있어요. 또 프로그램 서버를 업그레이드해서 한 공간에 동시에 입장할 수 있는 인원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과학 기술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