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량"(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매개 물질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연구단은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유전체를 대량 증폭해 분석하는 ‘DNA 나노볼 염기분석법’도 함께 진행했다. 장 연구위원은 “RNA 연구단이 나노포어 염기분석법 장비를 유일하게 보유한 곳은 아니지만 분석 경험이 많기 때문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늘어난다고 반드시 대량 멸종이 일어나는 건 아니야. 하지만 지구 역사에 비춰볼 때 대량 멸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 이른다고 예측한 거야! 한편, 2100년을 지목한 또다른 학자 프랭크 교수는 이스터섬처럼 역사상 존재했다가 멸망한 문명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행성과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각국 정부는 ‘생물무기금지협약’을 맺어 생물 무기 개발을 자제하자고 독려하고 있다. 대량살상을 방지하기 위해 1975년 22개국이 참가하면서 이뤄진 생물무기금지협약은 현재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러시아, 북한 등 187개국이 가입돼 있다.다만 러시아와 북한은 생물무기금지 협약에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 가지 항체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B림프구는 수명이 짧아 항체를 대량 생산할 수가 없었다. 그들은 세포융합이라는 아이디어를 냈다. 증식 능력이 뛰어난 종양세포인 골수종세포와 B림프구를 합쳐 항체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세포를 만들고자 했다. 이들은 쥐에게 양의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담은 복사본 RNA가 많이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껍질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유전체의 특정 부분을 번역해 필요한 단백질을 각각 만들어내는 일반 세포와 달리,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체를 한꺼번에 번역해 단백질을 덩어리째 합성한 뒤 단백질 가위로 잘라서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핵산 백신은 DNA든 RNA든 공통적 으로 개발 기간이 짧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세포전체 백신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약화하기 위해, 단백질 백신은 박테리아나 동물 세포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생성하게 만들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하지만 핵산은 화학적으로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진행될 것이다. 성공하면 단일클론항체보다 가격이 낮은 신약이 개발될 수 있다. 그러면 대량생산도 용이해져 전 세계에서 치료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Q. 코로나19는 언제 종식될까? 코로나19 종식을 위해서는 공동체의 60% 이상이 면역력을 가져야 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동결건조 백신을 쓰기 시작했고, 덕분에 백신 보급이 어려웠던 지역에서도 백신을 대량 접종할 수 있게 됐다. 백신의 전략은 한 마디로 예방이다. 우리 몸이 박테리아(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와 싸울 수 있도록 미리 약한 병원체를 넣어서 면역력을 만들어두는 것이다.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치료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영국 언론인 에드워드 호퍼가 쓴 이 책에는 중앙아프리카에서 소아마비 백신을 대량 배포하는 과정에서 에이즈가 퍼져나갔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그러자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의 기원에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급속도로 늘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2000년 런던에서 열린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부족한 경우 추가로 살을 조금씩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쓴다. 만약 신체활동이 적어 ATP를 대량으로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체내 ATP 저장 한계를 넘어설 만큼 음식물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인슐린을 분비해 글루코스-6-인산을 무려 6만 개의 포도당이 연결된 화합물인 글리코겐으로 변환시키고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