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오픈채팅은 개인정보 없이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이에요. 그래서 사실 그 사람에
대해
우리는 잘 모른다는 걸 유념해야 해요. 오픈채팅에서 어린이들이 속거나 위험한 일을 겪을 수 있어요. 특히 상대편이 어린이라는 것을 알면 물건을 싸게 팔거나 교환하자고 하면서 부당한 이익을 취하려 할 수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모델링해 봤나요? 이번에는 모델링 다음 단계인 리깅과 유니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 볼 거예요! 크리에이터 양양에게 방법을 물어봤습니다! 지난 20화에서는 가상공간인 제페토에서 사용할 3D 아이템을 직접 만들기 위해 모델링하는 방법을 배워 봤어요.● 모델링을 하고 나면 아이템을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추천한 세 가지 방법도 모두에게 행복한 일이 될 수는 없을 거예요. 그래서 나의 행복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문득 떠오르지 않다면 지금부터 나의 행복을 찾아보세요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바람에 나부끼는 것처럼 팔랑거리는 아이템을 본 적 있을 거예요. 양양은 이에
대해
“유니티라는 공간에서 물리 법칙을 적용해 움직이는 아이템을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지요. 이번 시간에는 3D 아이템 제작 과정 중 3D 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먼저 알아봐요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연구팀은 학습한 적 없는 데이터에
대해
‘모른다’는 값을 출력하는 중간 블록을 사용해 AI를 학습시킨 결과,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었어요. 이규빈 교수는 “자율주행 차가 장애물을 잘못 인식하는 것과 같은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받았을 때 기쁘기도 하고 놀라기도 했어요. 상을 받는 건 물론 좋은 일이지만, 상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아요. 지금까지 운이 좋아서 여러 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연구에 영향을 끼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Q. 수학과 물리학은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나요? 양자장론은 수학적으로 이해하기가 매우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될지 두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조금 더 가볍게 실패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만들기 위한 첫 발짝은 KAIST 학생들이 어떤 실패를 겪는지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KAIST 실패연구소에선 202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쓰려고 노력하고 있죠. 오늘은 ‘페르미의 역설(Fermi Paradox)’이라는 흥미로운 이론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한 엔리코 페르미는 미국의 물리학자입니다. 중성자를 이용해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발견한 공로로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죠. 페르미는 1950년 동료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 관측 실험도 진행하고 있다. 김 단장은 “중성미자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되면 우리는 빅뱅 직후 별과 은하가 어떻게 생성됐는지 알아내는 데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중성미자는 왜 중요할까 중성미자 실험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김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표준을 제안 중입니다. 원소재, 설계, 장비, 평가 및 제품 등 적층성형의 전 공정 주기에
대해
소재나 적층 방식별로 많은 평가 기준이 제정됐고 이를 준수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도 지속 중입니다. 한국은 2000년대 초부터 고분자를 이용한 적층 기술 연구를 시작했고, 현재는 적층성형을 위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