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무한
영겁
d라이브러리
"
무궁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간단하지 않습니다. 주변의 물리량을 한번 측정해 보십시오. 그 결과는 여러분에게
무궁
무진한 연구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 자! 도전해 봅시다. 실제 연구 보고서 살펴보기 다음 연구 보고서를 쓴 학생들은 형광등 빛의 유무에 따라 교실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도계를 이용해 연구했습니다.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짓는 로봇을 만나게 될지 모른다.생체·감성인식연구실 “생각을 달리하면 가능성은
무궁
무진” “대부분 적외선 카메라로 크게 찍은 눈을 모니터로 보면 자신의 눈임에도 무서워서 깜짝 놀랍니다. 일반 카메라와 달리 적외선 카메라 영상은 색에 영향을 받지 않아 속이 비어 있는 동공(눈동자)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여기는 다른 어린이들을 찾아 떠나야겠다. 안녕!” 한눈에 이해가 쏙쏙 - 특집 한 걸음 더
무궁
무진한 곤충의 활약!곤충이 짓는 친환경 농사!곤충은 안전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데에도 활약하고 있다. 그 중 천적 곤충을 이용한 농사는 농약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예를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소금호수에도 문제가 있다. 아무리 넓어도 생산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자연히
무궁
무진한 바다로 시선을 돌리게 됐다. 그런데 바다에도 문제가 있었다. 리튬 농도가 지나치게 낮았다. 따라서 바닷물에서 리튬을 뽑기 위해서는 낮은 리튬 농도를 높여 주는 과정이 필요하게 됐다. 이를 위해서 ... ...
레이저계의 블루오션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탑재체를 개발한다는 사명감으로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은 이 밖에도 레이저라는 장비의
무궁
무진한 응용 가능성을 밝히고 있다. 새로운 연구에 도전하는 연구자의 창의력이 빚어낸 성과다.연구실에서 각자가 맡은 연구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자율적인 연구를 존중하되, 매주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9TW(테라와트. 1TW는 1조 와트)다. 현재 인류가 쓰는 에너지의 총량(47TW)과 비슷한 수준이다.
무궁
무진하다는 기존 주장과는 거리가 멀다. 더구나 이 바람을 모두 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연구팀은 이 에너지를 모두 인류가 쓰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금의 2배로 높아지는 수준의 기후변화가 찾아올 ... ...
거짓말은 싫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선생님, 불가능하다는 것은 어떻게 알아요?”은용 “정말 궁금하네…. 질문방법은
무궁
무진할 텐데 모든 방법을 다 따져볼 수도 없을 거고 이런 불가능성을 어떻게 확실히 말할 수 있죠?”선생님 “후훗, 수학의 위대함이지. 앞서 1번 문제의 (2)에서도 우리는 이미 경우의 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 ...
출동~!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그 내용 말고도 뉴칼레도 니아에는 우리가 미처 기록하지 못한 신기한 자연과 문화가
무궁
무진해. 남은 내용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탐험해 보면 어떨까? 그럼 두 번째, 세 번째 탐험대의 활약을 기대하며, 첫 번째 탐험일지를 마칠게. 안녕~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다. 현재 합성 온도를 10℃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무궁
무진한 그래핀의 활용 가능성공학자들은 그래핀을 활용해 셀로판지처럼 얇은 두께의 컴퓨터 모니터나 시계처럼 팔에 찰 수 있는 휴대전화, 구부러지는 터치스크린, 태양전지판, 종이처럼 접어 지갑에 넣고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이라고 강조했다.▶김홍구 피츠버그대 교수 겸 나노연구소장은 IT의 가능성이
무궁
무진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과거 과학의 발전 방식과 다르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IT는 페르마의 정리처럼 무언가가 확실히 해결이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