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닥"(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깊이를 알기 위해 돌을 떨어뜨리는 장면을 만화에서 본 적이 있나요? 등장인물은 돌이 바닥에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기까지의 시간을 바탕으로 깊이를 가늠하지요. 자율주행차 등에서 쓰는 ‘라이다’ 기술도 이와 같은 원리예요. 빛의 한 종류인 레이저를 발사해 레이저가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 ...
- [냠냠!어수잼] 돌고 도는 360˚˚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네 바퀴는 몇 도일까? 한 바퀴는 360° , 두 바퀴는?오른쪽 그림 속 토리처럼 막대기를 땅바닥에 대고 제자리에서 한 바퀴 돌면 원이 그려져요. 토리의 몸은 360° 회전했지요. 토리가 두 바퀴를 돌면 토리의 몸은 360×2=720˚만큼 회전하고, 세바퀴를 돌면 360×3=1080˚만큼 회전해요. 회전한 각도는 360의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10월 23일 토네이도를 연구한 ‘미스터 토네이도’ 테드 후지타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기준으로 F0 등급은 지붕이 살짝 뜯기는 정도이고, F5 등급은 견고하게 지어진 집이 바닥만 남기고 완전히 쓸려나가는 피해를 입히죠.후지타 등급은 이후 토네이도를 분류하는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등급은 2007년 개량을 거쳐 EF라는 등급으로 여전히 쓰이고 있지요. 테드 후지타는 1998년 ... ...
- [특집]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5년 만의 개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난 어름치라고 해! 물이 맑고 자갈이 많은 강바닥에서 사는 민물고기지. 알을 낳으면 강바닥에 모래와 자갈로 산란탑을 쌓아 보호하는 습성으로 유명해. 나는 올해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동물로 지정될 예정이야. 그게 대체 뭐냐고? 우리나라에는 얼마나 많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글라이더를 만드는 건 간단해 보이지만 꼼꼼하게 만들지 않으면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바닥에 쿡 처박히기 일쑤일 거예요. 글라이더를 잘 날리지 못해 실망했던 친구들은 주목! 섭섭박사님이 엄청 오래 나는 비행기를 만드는 방법을 공개한대요. 바로 모터 달기! 모터는 떨어지던 비행기도 다시 ... ...
- [가상 인터뷰] 불사 해파리, '이것' 때문에 영원히 어리게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않고 계속 살 수 있어서 ‘불사 해파리’라고도 불리지요. 저는 유충에서 자라나면 해저 바닥에 붙어 있는 ‘폴립’이 돼요. 자기 몸을 복제해 개체들이 모여 있는 그룹을 만든 뒤, 성체로 함께 자라나지요. 다른 해파리들과 달리 상처를 입는 등 위험에 처하면 폴립과 비슷한 형태로 몸을 ... ...
- [기획] 손대지 않고 공중부양! 소리 핀셋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시스템디자인학부 칸 오쿠보 박사팀은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없는 소리인 초음파로 바닥에 있는 물체를 공중부양시킨 뒤 옮길 수 있는 ‘소리 핀셋’을 소개했어요. 연구팀이 1년 전 발표한 소리 핀셋 기술을 발전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물체를 제어할 수 있게 됐죠.소리는 공기나 물, 나무 등 물질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어푸어푸 행성의 새로운 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9호
- 촉수는 재빨리 움직여 작살을 피했습니다. 동시에 세 번째 촉수가 딱지를 때려 바닥에 처박았습니다. ‘아고고, 아프다.’딱지는 간신히 몸을 추스르고 촉수 괴물의 몸통을 향해 작살을 겨누었습니다. ‘제발, 맞아라!’“안 돼! 위험해요!”어디선가 나타난 어두운 빛이 작살을 가로막았습니다. ... ...
- [수학히어로 출동! 슈퍼M] "종이컵은 왜 모양이 모두 똑같아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컵을 쥘 수 있어요. 종이컵 안에 뜨거운 음료가 담겨 있을 때 손바닥을 컵에 모두 대지 않고도 안전하게 잡을 수 있지요. 하지만 종이컵이 원기둥 모양이라면 컵을 잡았을 때 손이 미끄러질 수 있어서 위험해요. 종이컵 얼마나 쓰고, 얼마나 재활용 될까? 우리나라에서 1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물리학과 수학의 깊은 관계를 알아봅시다.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발바닥이나 옆구리를 건드리기만 해도 웃음이 터지곤 합니다. 그런데 내가 직접 자신을 간지럼 태울 땐 웃음이 나진 않지요. 그러다 다른 사람이 나를 건드린다면 바로 웃음이 터져 나올 거예요. 이는 내가 간질이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