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탄생 & 죽음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재활용 마크와 ‘OTHER’라는 글씨가 쓰여있다. 비닐 폐기물을 쪽지처럼 접어 버리면
부피
가 작아져 선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펼쳐 버려야 한다. ❽ 생분해성 빨대 (폴리락틱애시드·PLA)‘썩는 플라스틱’으로 널리 알려졌다. 편의점에 비치된 빨대 중에서 가장 환경에 영향을 덜 줄 것 같아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생각하고 읽을 수 있어요.알코올을 사용하는 이유는 알코올이 적은 온도 변화에도
부피
가 크게 변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정밀하게 온도를 측정할 수 있죠. 예전에는 알코올 대신 수은을 넣은 수은 온도계를 사용했어요. 기상예보에서 “수은주가 영하로 떨어졌습니다”라고 말할 때의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탐험하라> #1. 식물 성장에도 ‘질서와 규칙’이 있다! 울창한 숲에서 자라는 나무는
부피
성장보다 길이 성장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무가 높이 자란다. 나무가 낮게 자라면 광합성을 하기 어려워 주변 나무와 경쟁하면서 더 높이 자라는 것이다. 반면, 듬성듬성한 숲에서 자라는 ...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수학 개념으로 연결돼 있다는 겁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구와 같은 입체 도형의 성질과
부피
공식은 중학교 1~2학년 때 배우며, 미분과 적분의 개념은 고등학교 때 배우고 있는데요. 조 대표는 “미분과 적분으로 관통할 수 있는 문제를 따로 배우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수학을 꿰뚫는 눈이 ... ...
보행의 영역이 모빌리티의 영역으로│이진복 올룰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당시 한국에서는 공유 자전거가 퍼져나가고 있었다. 전동킥보드는 자전거보다
부피
가 작기 때문에 프리플로팅(불특정 장소에 주차하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서비스를 준비하다 보니 미국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운영하는 전동킥보드 서비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Q. 공유하는 ... ...
[특집] 숲을 위해 나무를 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실제로 이용할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물론 나무 일부를 솎아 공간을 넓혀 주는 건
부피
생장을 하는 나무가 잘 성장하는 데 도움이 돼요. 하지만 이렇게 숲에 큰 변화를 갑작스럽게 만들면 동물들이 적응하기 힘들 거예요. 또 새로 심은 나무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늘어난다는 효과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노출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갈라진 틈이 생겨요. 틈 사이로 들어간 물이 얼면 얼음의
부피
가 커져서 암석이 부서져 작은 돌 더미가 되죠. 이 과정을 ‘물리적 풍화(기계적 풍화)’라고 불러요.그런데 풍화는 화학 반응을 통해서도 일어나요. 지표면 암석의 광물은 땅속과 달리, 빗물, 대기와도 만나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엘사, 자유롭게 얼음을 다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일어나 얼음을 제거하는 모습. 생물의 세포에도 물이 존재해요. 이 물이 얼음이 되면
부피
가 팽창하면서 만들어지는 날카로운 얼음 결정에 세포가 손상될 수 있지요. 이런 위험을 막기 위해 극지방에 사는 북극 대구 같은 어류나 미생물 등은 ‘결빙방지 단백질’을 만들어요. 결빙방지 단백질은 ... ...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수송할 때 쓴다.승용차보다 규모가 큰 상용차에서 중요한 건 ‘얼마나 가볍냐’다.
부피
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진다. 이런 이점을 살려 현대자동차는 2020년 세계 최초로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를 양산해 스위스로 수출했다. 트럭, 버스 등 수송용 차량은 매일 일정한 경로를 따라 먼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ESS를 개발 할 때에도 리튬이온배터리가 활용되고 있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의 단위
부피
당 또는 중량당 전력저장 밀도는 이미 이론상 최고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를 넘어서려면 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 원리와 근본적으로 다른 혁신적인 배터리 및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먼저 에너지 밀도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