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큰 수니까 3/6이 1/2보다 클 것 같지만, 사실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위 색종이의 칸을 비교해 보세요. 색종이 한 장을 1/2로 나눈 것과 3/6으로 나눈 것의 크기가 같지요? 3/6은 1/2의 분모와 분자에 각각 3을 곱한 것일 뿐, 두 수의 크기는 같아요. 이처럼 분수는 분모와 분자에 0이 아닌 수를 똑같이 ... ...
- [꿀꺽! 수학 한 입] 조각난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태양의 신 ‘호루스’는 전쟁의 신 ‘세트’와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고대 이집트의 왕이 된다. 그러나 세트가 마지막에 던진 창에 맞아 호루스의 눈이 6조각으로 나뉘고 만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지혜의 신 ‘토트’는 여기저기 흩어진 호루스의 눈 조각을 마법의 힘으로 찾아 모은다. 안녕? ...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5월 22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외 공동 연구팀은 수온에 따른 알의 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해 미유기 알이 부화하기 가장 적합한 온도를 알아냈어. Q. 어떤 온도가 가장 적합해?A. 연구팀은 2018년 6월 경상북도 영천시 자호천 일대에서 미유기 10마리를 채집해 9개월간 키웠어. 그리곤 인공 수정을 ... ...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되었지요. 한편, 하루살이는 생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김동건 교수는 “하루살이는 비교적 깨끗한 2급수에 사는 곤충으로, 하루살이가 있다는 건 강의 수질이 개선되었다는 증거”라고 밝혔습니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낚시할 때 쓰는 미끼도 하루살이 유충을 본떠 만들 ... ...
- [숫자로 보는 뉴스] 빠르게 튕겨!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오줌을 누는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양의 오줌을 누지요. 사람이 하루 동안 자기 몸무게의 1/40만큼 오줌을 배출하는 것과 비교하면 훨씬 많은 양이에요. 연구팀은 “샤프슈터의 슈퍼 추진력을 연구하면, 아주 작은 로봇의 움직임 등에 활용할 수 있어요.”라고 말했어요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Q. 수학을 좋아하나요? 수학뿐 아니라 과학도 전반적으로 좋아해요. 학교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수학을 특히 좋아하는 편이지요.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어요. 당시 주산학원에 다녔는데, 저는 손으로 하는 것에 재능이 없는 편이라 주판을 쓰는 대신 머리로 암산해서 답을 적었어요.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측정하는 도구인 ‘육분의’로 정오에 태양의 고도를 측정하면 출발 지점의 시계와 비교해 경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태양이 정남에 있는데 출발 지점의 시계가 자정을 가리킨다면 그 위치는 경도지점에 해당한다. 우주선 자세 알아내는 별 추적기로 우주 쓰레기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릴라, 두 종의 오랑우탄 등의 영장류와 긴팔원숭이까지 총 6종이다. “이들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하면 같은 기능을 하는 유전자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 궁극적으로는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목표예요.”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날개 무늬가 흡사했다. 이 연구원은 샘플과 둥근점등에모기를 해부 현미경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작은턱수염 세 번째 마디의 감각오목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등에모기속의 감각오목 은 사람으로 따지면 ‘코’의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감각오목으 로먹이를찾고냄새를맡는다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겨우 관측되는 아주 먼 은하까지의 거리도 좀 더 안전하게 유추할 수 있다. 이처럼 비교적 가까운 우주에서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방법을 그보다 좀 더 먼 우주까지의 거리를 잴 때 적용하는 방식을 천문학에서는 ‘거리 사다리’라고 부른다. 스텝 바이 스텝, 거리 측정법을 순서대로 보정해가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