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운드"(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멀티환경의 화룡점정 모니터과학동아 l1995년 12호
- 건강을 위해 인체공학제품으로, CD롬 드라이브는 당연히 4배속, 그리고 여기에 16비트 사운드 카드와 28.8k 모뎀을 선택했다.내심 자신의 결정에 흐뭇해하는 김씨를 보고 가게 주인은 "이왕 펜티엄을 구입한 마당에 모니터는 17인치는 못사더라도 15인치를 구입하라"고 조언한다. 대형 모니터를 고려하지 ... ...
- 2 소프트웨어-펜티엄을 펜티엄답게 쓰자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사이 이미 윈도 95의 능숙한 사용자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또 그래픽카드 CD롬 사운드카드 모뎀 스캐너 등 주변기기를 장착할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설정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윈도 95가 알아서 설정해주므로 이제 막 컴퓨터에 입문한 사용자들이 골치를 앓는 하드웨어 ... ...
- 5 음향-음압과 주파수의 하모니과학동아 l1995년 11호
- 날로 발전하고 있다. 입체 음향의 효과를 더하기 위해 사운드 채널을 증가시킨 서라운드 사운드나, 잔향 효과를 전자회로화 해서 연주 장소에 따라 음향 효과를 재현해내는 기술도 보편화돼 있을 정도다.그러나 이같은 전통적인 관점의 음향학 외에도 제품의 개발과정에서는 음향의 감성적 측면이 ... ...
- 1 하드웨어-마음에 쏙드는 제품으로 뜯어 고친다과학동아 l1995년 11호
- 하는데, CD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사운드카드를 이미 가지고 있다면 해당 사운드카드와 사용 가능한 AT-BUS 방식의 CD롬 드라이브를 구입하면 될 것이다. SCSI방식은 가격도 비쌀 뿐 아니라 제품마다 접속 가능, 또는 불가능한 SCSI 컨트롤러가 있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참고고 윈도 95에는 ... ...
- 1. 3.1 단점 보완, 사용하기 쉽고 빠르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40% 이상 빠른 인쇄를 할 수 있다.윈도 95는 사용자의 시스템에 어떠한 CD-롬 드라이브와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어 있는가를 자동으로 알아서 설치해주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의 지원을 통해 향상된 멀티미디어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CD-롬 드라이브에 타이틀을 넣으면 음악용 CD인지, 프로그램 CD인지를 ... ...
- 3. 윈도 95 의문점 6문 6답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시설 확장에 나서고 있다.한편 위의 사양 외에 필요한 마우스와 CD 롬 드라이브, 모뎀 사운드 카드 등의 규격은 최근 크리에이티브랩 델 IBM NEC 등 15개의 멀티미디어 회사가 발표한 MPC 규격 3과 대략 일치한다. 그러나 이 규격의 제정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참가하지 않았다. 대신 마이크로소프트사는 ... ...
- 루스박사의 성교육 백과사전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윈도에서 구동하는 이 타이틀을 보기 위해서는 386 이상의 시스템과 4MB 이상의 메모리, 사운드 카드가 필요하다. 동화상은 '퀵타임' 포맷으로 제공되는데 이미 퀵타임 런타임이 설치돼 있는 경우에는 종종 동작이 불안할 수 있다. 이때는 하드드라이브에 설치된 퀵타임과 윈도의 서브 디렉토리인 ... ...
- 2. 정보고속도로시대 겨냥한 야심작 MSN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제작해 사용하고 있으나, 윈도 95에서는 사운드나 이미지 파일을 이용자에게 다운로드 시켜주면 자체 내의 멀티미디어 부속 기능이 작동하여 이를 재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현재의 PC통신업체들은 부차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들이고 있는 ... ...
- 노트북 PC과학동아 l1995년 09호
- PC에 못지 않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가 살펴야 할 것이다.최근 발표된 제품들 가운데는 사운드 카드와 마이크가 내장돼 있어 회의나 간단한 인터뷰 내용 등을 녹음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뿐만 아니라 CD-롬 드라이브가 내장된 제품들은 다양한 타이틀을 이용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PC로도 활용할 수 ... ...
- 인터넷 과학 사이트 베스트 57과학동아 l1995년 09호
- 뷰어(external viewer)가 웹 브라우저와 함께 인스톨돼 있어야 하며,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사운드카드와 au 포맷 파일을 위한 외부 뷰어가 따로 있어야 한다.Astronomy Now Online(http://www.demon.co.uk/astronow/)1987년에 처음 발간된 영국의 천문학 잡지 'Astronomy'의 웹 사이트다.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