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균
멸균
방부
약물소독
약물
d라이브러리
"
소독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치료에 뛰어나, 치료제로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벌벌이 벌집의 알 낳는 자리를
소독
하는 데 쓴 물질인 ‘프로폴리스’는 항산화와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연구가 진행 중이다.소똥구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애기뿔소똥구리의 애벌레에서 펩타이드성 항생 물질을 분리했다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pH5 이하의 강산성이나 pH10 이상의 강염기성 환경에서 활성화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소독
법이다. 문제는 이런 환경이 사체를 분해해야 하는 토양미생물의 활동 역시 방해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토양 미생물인 바실러스는 중성인 pH7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다. 미생물이 ... ...
전국이 들썩들썩~, 구제역 공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나라의 겨울은 그야말로 바이러스가 활동하기 딱 좋은 날씨예요. 올해는 특히
소독
약 조차 얼 정도로 기온이 너무 낮아서 바이러스를 없애는 데 더욱어려움을 겪고 있답니다.*㎚ : 나노미터. 1㎜의 100만분의 1크기이다. 알쏭달쏭, 구제역이 궁금해!올 겨울, 왜 이렇게 구제역이 기승을 부리는지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관리가 안 돼 기껏 모은 침출수를 외부 흙구덩이에 모으기도 하고 다른 지역에 운반해서
소독
하기도 한다”며 ”오히려 바이러스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만약 침출수가 지하수까지 오염시켰을 경우를 대비해 차단막을 설치하는 안도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비판이 많다. 일단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해결책을 마련했습니다. 예를 들어 운반해온 잎을 농장에 넣기 전에 몸에서 분비하는
소독
액으로 씻어냅니다. 농장을 여러 구역으로 나눠 병충해를 입은 작물(곰팡이)이 있는 구역을 서둘러 폐쇄해 병이 번지는 걸 막습니다. 또 구역마다 농작물의 성장상태를 달리해 병이 퍼지는 걸 억제하기도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부분 사멸한다. 바이러스도 1ppm의 오존수에서 1분간 세척하면 99%가 죽는다. 염소
소독
보다 7배나 강한 살균효과다.이렇게 씻은 사과는 유통 과정 중에 다시 미생물이 묻지 않도록 개별 포장해야 한다. 먼저 사과 표면에 묻은 물을 송풍기 바람으로 말린다. 수분이 있으면 미생물이 쉽게 번식할 수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산성이나 염기성 액체인
소독
약은 구제역바이러스를 쉽게 죽일 수 있다. 그러나 추위로
소독
약이 얼면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한다.]온도와 구제역바이러스의 생존기간구제역바이러스 입자가 떠돌아다닐 때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기간은 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한여름에 해당하는 3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양을 복용하면 남아 있는 균들에 의해 내성이 생긴다”고 말했다.병원에서는 수술기구를
소독
하고 손을 씻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해야한다. 일본의 한 병원에서만 9명이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사망한 것은 감염 자체가 아니라 감염 환자를 방치한 것이 문제였음을 기억해야한다.의료 관리가 허술한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용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소독
기를 거치자는 것이다. 소지품과 옷가지도 자외선
소독
기에서 멸균한다. 지금은 원하는 축산업자만 대상이지만 이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현재 국회에 제출돼 있다.이규영 검역관은 “여행객들이 ‘나 하나쯤’ 하며 검역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 수만 마리의 소, ... ...
콜록콜록 바이러스 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주사바늘이 귀했던 옛날에는 주사기를 1회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주사 바늘을 불로
소독
해서 사용했답니다. 그래서 불주사라는 이름이 붙게 됐지요. 지금은 모두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불주사는 없어졌지만, 결핵예방접종을 불주사라고 부르기도 해요. 결핵예방접종으로 생긴 흉터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