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포획을 하기 위해 마취총을 쐈습니다. 하지만 호롱이는 마취가 되지 않은 채 다시
시야
에서 사라졌죠. 날이 더 어두워지면 야행성인 퓨마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한 오월드는 결국 매뉴얼에 따라 퓨마를 사살했습니다. 이를 두고 ‘사살까지 한 것은 과잉대응이었다’는 비난 여론이 거세게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물리 지식을 요구한다. 진로에 대한 고민은 이런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시야
를 뜻하기도 한다. 진로를 고민하는 일은 ‘나’를 알아가는 일과 다르지 않다. 더욱 넓은 세상을 만나고 경험할 때 그 안에 놓인 나를 함께 고민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나를 고민하는 일은 미래의 나를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끌리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어두운 곳에있는 새들은 밝은 곳에서
시야
를 확보 하려는 습성이 있어서 본능적으로 빛에 끌린다는 추측이 있지요. 대도시의 불빛은 수백km 밖에서도 보일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밤에 이동하는 새들이 여기에 이끌릴 수 있답니다. 먼 거리를 이동하는 ... ...
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있지요. 왜 그럴까요? 새는 눈이 머리 양옆에 달려 있어서 뒤쪽까지 볼 수 있을 정도로
시야
가 넓어요. 반면 앞을 볼 수 있는 거리는 무척 짧답니다. 그래서 유리에 매우 가까이 다가가기 전까진 이것이 진짜 하늘인지, 유리에 비친 하늘인지 잘 구분하지 못하지요. 자동차와 맞먹는 속도인 시속 30~7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체험 기간 내내 날씨가 쾌청해 20~50m 떨어진 거리도 선명하게 보일 정도로 바닷속
시야
가 좋았다. 특히 단원들이 가장 좋아했던 바다는 기지에서 배로 20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펜룩 섬 해안이었다. 수심이 깊어지면서 계속해서 새로운 모양, 새로운 색깔의 산호들이 나타났다.수영을 못한다고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골치 아픈 포물선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실제 배틀그라운드 고수들은 탄도학을 적용해서 게임을 하고 있을까? 적을 발견하는
시야
가 넓어 ‘몽골인’이라 불리는 프로게이머 ‘딩셉션’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봤다! 결국 거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지도에 있는 격자를 이용해 거리를 대강 알 수 있으니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두 개의 금줄을 등에 지닌 금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등 양쪽에 금줄 두 개가 불룩 솟아 있는 금개구리의 별명은 ‘멍텅구리’예요.
시야
가 좁고 움직임이 둔해서 주변에 있는 먹이를 잘 발견하지 못하고, 천적에게도 쉽게 잡히거든요. 또 몸 크기가 비슷한 참개구리는 150cm 정도를 펄쩍 뛰는 반면, 금개구리는 고작 60cm밖에 뛰지 못한답니다. 게다가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팀 데스매치’가 이뤄지는데, 지그재그로 놓여 있거나 쌓여 있는 컨테이너로 인해
시야
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적이 나타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첫 번째 적을 만나기 전까지가 가장 심장이 쫄깃하다.‘A보급창고’ 맵에서는 창문 하나 없이 빨간 벽돌로 지어진 건물 안에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저가형 라이다를 이용해 운전자의 안전을 높였다. 최현용 KETI IT융합부품연구센터장은 “
시야
각을 넓히기 위해서는 센서의 수를 늘리는 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인데, 아직은 가격 때문에 불가능하다”며 “기술이 더 성숙하는 2020년 쯤에는 양산 가능한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KMTNet)’으로 외계행성을 수색하고 있다.KMTNet은 지름 1.6m인 거울을 장착한 광
시야
망원경과 3억4000만 화소의 초대형 천문탐색용 카메라인 CCD로 구성된 관측시스템이다.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 남반구에 있는 3개 국가 관측소에 설치돼 있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하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