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y
아카대미과학
d라이브러리
"
아카데미과학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으아~, 도대체 모르겠다!”여기는 ‘어린이과학동아’의 표지회의가 한창인 회의실. 창간 6주년을 맞아 12월 표지에 등장할 동물을 찾고 있다. 하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어린이과학동아’ 표지 모델인지라 쉽게 결정이 나지 못하고, 결국 편집장님은 특단의 조치를 취한다.“표지모 ...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찌는 듯한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어요. 계곡물이나 바닷물에 풍덩 빠지고 싶은 기분이 들지 않나요? 하지만 여름은 덥기만 한 계절이 아니에요. 울창한 나무와 풀, 시원하게 흐르는 물과 새하얀 구름이 우리의 시각을 왕성하게 자극하는 계절이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그런 자연을 그림속에서도 볼 수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꿈의 국제대회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가장 먼저 제보자를 찾아갔습니다. 그런데 제보자는 자신이 이 대회의 창시자라고 우기는 것이 아닙니까. 대체 어떻게 된 걸까요? ✚안녕하세요. 니콜라이 콘스탄티노프입니다. 올해 가을라운드부터 한국에서도 도시대항 국제수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많은 수학상이 생겼어도 수학계는 노벨 수학상에 대한 미련이 있다. 필즈상이 1936년에 생겼지만 40세라는 나이 제한 때문에 1800년대에 태어난 뛰어난 수학자들은 처음부터 대상에서 빠졌다. 비록 상이 그 사람의 업적을 그대로 나타내는 건 아니지만 업적을 돋보이게 하는 면이 있다.게다가 노벨 ... ...
바뀐 규정에 강한 라인트레이서 블루샤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블루샤크제조사 오주솔루션┃가격 18만 원해마다 4월이면 다양한 경시대회가 열린다. 경시대회 참가 요강은 매년 조금씩 다르다. 2010년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로켓과학 종목은 주최 측이 준비한 재료로만 겨루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참가자가 로켓의 재료나 발사대를 가져올 수 있게 허용하 ... ...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안정, 기본 등 4가 가진 특성들은 세상을 쉽고 조화롭게 만들고 있단다. 생활 속 어디서든 4가 빠지지 않고 쓰이고 있지. 숫자 4는 정말 없어선 안 될 존재란다.✚ 우리 생활 곳곳에서 숫자 4를 찾아볼 수 있어. 간단하게 즐기는 게임이나 삶을 아름답게 만드는 음악 속에도 4의 원리가 들어 있지. 특히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왜 한국에 있는 모든 학교 교실들은 다 똑같이 생겼을까. 사각형으로 생긴 교실의 맨 앞엔 커다란 칠판이 붙어 있고, 그 뒤로 책상들과 의자들이 차례로 줄지어 늘어서 있다. 뒷벽엔 영락없이 시간표와 학습 자료가 붙어 있고, 출입문이 앞뒤로 두 개씩 나 있다. 이렇게 생긴 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2010년 ‘어린이과학동아’에서는 예술 작품을 감상하며 그 속에서 과학 지식을 발견해 보는 연속 기획 ‘그림 속 과학’과 ‘이야기 속 과학’ 코너를 마련했어요. 그 첫 번째 순서로, 옛날 사람들이 과학과 예술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네 장의 그림을 통해 알아보기로 해요.과학과 예술을 사 ... ...
“소외층, 제3세계 구하는 제품 개발해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960~1970년대 우리나라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요. 옛날 기술과 최근 기술이 뒤섞여 편리한 듯 보이는데 불편한 점이 많죠. 휴대전화는 사용하는데 집에 난방은 잘 안 되는 식이에요.” (정미진, 한밭대 2년)“처음 공항에 내리는 순간 매연 때문에 목이 턱 막혔어요. 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유연탄을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난 10월 9일은 한글날이었다. 한글은 인류가 보유한 문자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자음과 모음이 과학적으로 조화돼 어떠한 음성과 글자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위대한 15세기의 발명품 뒤에는 세종대왕이 있었다.하지만 조선이 과학기술을 발전시킨 데에는 또 다른 주인공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