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엔지니어"(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결국 다음 날 예정됐던 우주비행사 세 명의 출발도 연기됐다. 결국 우주비행사들은 엔지니어에게 우주정거장 수리 기술을 훈련받은 뒤 예정보다 10일 늦은 1973년 5월 25일 스카이랩에 도착했다. 이들은 우주 유영을 통해 태양전지판을 다시 펼쳤고, 임시로 태양열을 막을 수 있는 파라솔을 설치하는 ... ...
- 오피스 없이도 문서 본다! 사이냅소프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스마트폰으로 10월 급식 식단표를 보기 위해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아뿔싸, HWP 파일을 열어야 확인할 수 있단다. 오늘 점심 메뉴 하나 확인하려고 아래아 ... 좋아한다면 프로그래머, 꼼꼼하고 잘못된 건 바로잡아야 한다는 성격의 사람이라면 QA엔지니어가 적성에 잘 맞을 겁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의치를 했다는 설도 있지요. 1998년 블루투스를 개발한 인텔과 에릭슨, 노키아, IBM 등의 엔지니어들은 이 기술이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통일한 블루투스 왕처럼 모든 장치를 하나로 묶을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이름을 붙였답니다. 유인원은 ‘무리’를 뜻하는 ‘유(類)’와 ‘사람’을 뜻하는 ‘인 ... ...
- [과학뉴스] 우주망원경 보호 기술로 유물 지킨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지키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나섰다. NASA는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소속 열제어코팅엔지니어인 니신 에이러햄이 특허 출원 중인 ‘분자 흡착 코팅’ 기술을 이용해 박물관의 유물과 표본을 보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월 26일 발표했다.분자 흡착 코팅 기술은 제올라이트와 콜로이드성 실리카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많지 않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그 가운데서도 명실상부 최초, 그리고 최고다. 선박 엔지니어를 꿈꾸는 학생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인 학과라고 할 수 있다. 17, 18학번 재학생들에게서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 ‘승선’할 수 있었던 비결을 들었다. 학업에 대한 집념, 내신 6등급→1.7등급 1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청색 LED의 실용화에 한 발짝 다가서는 토대가 됐습니다. 당시 일본 니치아 화학공업의 엔지니어였던 나카무라 연구원(현재 UC샌타바버라 교수)은 아카사키 교수와 아마노 교수의 연구결과에서 힌트를 얻어, p형 질화갈륨 반도체층을 더욱 쉽게 만들 수 있는 후속 열처리 공정을 고안했습니다. 이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되는 자질이다.여 교수는 “공학을 통해 국격을 높이는 데 동참하겠다는 열정을 가진 엔지니어를 기르는 것이 목표”라며 “교수진도 각 분야에서 꼭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언] 잘 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제 경우에는 잘 하는 것을 선택해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책 읽기 외에도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의 사회공헌 활동인 색동나래교실에 참가해 항공 엔지니어로부터 항공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다. 친구 두 명과 함께 가오리연을 이용해 꼬리 길이에 따른 비행 안정성을 실험해 논문도 썼다. 이 씨는 “항공우주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 ...
- [에디터 노트] 굿바이,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에피소드 ‘The Hawking Excitation’이다. ‘호킹과의 흥분된 만남’ 정도로 번역된다.우주 엔지니어인 주인공 하워드가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를 방문하는 호킹의 휠체어 관리를 맡게 되고, 호킹의 오랜 팬이었던 또 다른 주인공인 이론물리학자 쉘든이 하워드를 통해 자신의 새로운 논문을 호킹에게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e메일이 하나 도착했다. 밥 프랑크하우저라는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의 퇴직한 엔지니어가 보낸 라테 사진이었다. 처음엔 평범한 라테처럼 보였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라테에는 색깔이 조금씩 다른 층이 촘촘히 형성돼 있었다. 연구팀을 이끌던 하워드 스톤 교수는 해맑게 웃으며 말했다. “얼마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