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심봤다!”눈앞에 보이는 아름다운 버섯의 정체는 제가 올해 7월 경기 북부에서 만난 ‘분홍털땀버섯’이에요. 저는 이렇게 야생에 숨겨진 버섯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있는 생태사진작가 박상영이라고 합니다. 이번 호부터 제가 직접 촬영한 야생버섯들의 신비로운 매력을 알려드릴게 ... ...
- [특집] 한준희 해설위원과 예측부터 분석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월드컵은 4년에 한 번씩 열리는 세계 축구 국가대항전입니다. 혹시 월드컵을 처음 보거나 잘 모르는 친구가 있나요? 그래도 걱정하지 마세요. 이번에 월드컵 중계를 맡은 한준희 KBS 축구 해설위원과 함께 알아봤으니까요! 우승팀, 전문가와 독자의 선택은?이번 카타르 월드컵이 열리는 시기가 평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도덕적인’ 인공지능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나 과학마녀 일리는 이번에 인공지능 경찰관을 개발했어!그런데 출동하자마자 이 녀석…. 사고를 쳐서 걱정이야! 무슨 일이냐고? 로봇에게도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두 영화에는 인공지능의 논리와 인간 윤리가 충돌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사고하게 되면, 인간과는 전 ... ...
- [기획] 우리나라에서 완두콩 실험을 재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우리나라에도 멘델 탄생 200주년을 기리기 위해 멘델의 완두콩 실험을 재현하는 과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강원희 교수지요. 우리도 멘델의 완두콩 실험이 정말로 잘 되는지 직접 해볼까요? 학생들이 재현해보는 유전법칙“유전 단원이 어려워서 생명과학 공부를 포기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와 고양이, 강물 때문에 싸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비가 많이 오네.”강 주변을 지나가던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갑작스런 소나기를 만났어요. 비를 피하기 위해 달리던 중 어디선가 싸우는 소리가 들렸지요.“너 때문이잖아!”살펴보니 개와 고양이가 싸우고 있었어요!“무슨 일인가요?”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불어난 강물! 집에 돌아갈 ... ...
- [현장취재] 지사탐 대원들, 사진 작가 데뷔?! 자연사박물관 사진전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여러분,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그리고 멋진 생태 사진으로 자연사박물관을 빛내 주어 고맙습니다!”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박중기 관장이 지사탐 대원 가족들에게 환영 인사를 건넸어요. 9월 24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50명은 이화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행성 주변에는 그 주위를 빙빙 도는 작은 천체들이 있어요. 바로 행성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운 천체인 ‘위성’이지요. 태양계에서 가장 커다란 위성은 어디에 있을까요? 또, 사람이 우주로 쏘아 올린 위성 중 가장 큰 위성은 뭘까요? 우주기네스 1. 위성이 행성 주위를 도는 것은 ‘인력’ 때문이 ... ...
- [특집]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5년 만의 개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반가워, 난 어름치라고 해! 물이 맑고 자갈이 많은 강바닥에서 사는 민물고기지. 알을 낳으면 강바닥에 모래와 자갈로 산란탑을 쌓아 보호하는 습성으로 유명해. 나는 올해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동물로 지정될 예정이야. 그게 대체 뭐냐고? 우리나라에는 얼마나 많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에선 똥손도 예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나 과학마녀 일리는 오늘 푸푸와 오프라인에서는 좀처럼 할 수 없는 즐겁고 특별한 예술 경험을 해 봤어! 도자기를 만들고, 멜로디도 만들었지! 너도 해보고 싶다고? AI 거장의 도움으로 똥손도 쉽게 예술할 수 있으니 도전! 디지털로 세계의 작품을 만나요! 여러분은 예술 체험을 좋아하나요? 디 ... ...
- [특집] 깔따구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나 깔따구는 4급수에만 산다? 생태계에서 해충이다? 유독 나에 대한 많은 오해들이 있는 것 같아. 날 파악해야 수돗물 유충 사태도 막을 수 있지 않겠어? 인천 수돗물 유충 사태 이후 깔따구에 대해 연구한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박선재 연구관에게 물어 봤어! 깔따구는 억울해! 물 생태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