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원성
둘임
연성
중복
d라이브러리
"
이중성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잘못 쓰면 인류가 파멸될 위험을 안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원자력은 고마움과 두려움의
이중성
을 함께 지니게 되었고 철저한 감시와 신중한 관리체제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일찌기 아인슈타인은 "만약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그 시기는 예측할 수 없지만 4차대전 때는 돌과 창으로 싸우게 될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별들은 오리온자리의 리겔이나 베텔기우스같은 아주 밝은 초거성들일 것이다. 만약
이중성
단이 오리온자리의 별들처럼 우리에게서 좀 더 가까운 곳에 위치했다면 굉장히 크고 밝게 보였을 것이다. 겨울이 오는 신호페르세우스 뒤를 이어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는 별자리는 5각형 모양을 한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알골이라 불리는 별은 주기적으로 점차 희미해지다가 다시 밝아지다가 한다. 알골은
이중성
으로서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훨씬 크고 희미한 것이 명백하다.주기적으로 희미한 별이 밝은 별 앞으로 움직이면 알골의 명도는 낮아진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희미한 별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다시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망원경으로도 구별이 쉬운 노란색의 4등급과 푸른색의 6.3등급 별로 이루어진 매혹적인
이중성
이다. 이 별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매 5일 9시간을 주기로 규칙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노란색 초거성인 주성이다. 델타 별의 최대 밝기는 3.6등급으로 가장 어두울때인 4.3등급의 대략 두 배 밝기다. 이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여행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큰 유혹중의 하나다.백조자리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멋진
이중성
은 알파 별과 감마 별, 그리고 엡실론별과 사변형을 이루는 위치에 있는 오렌지색의 별이다. 이 별은 백조자리 61번 별로 불리는데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구별해 볼 수 있는 5등성과 6등성의 쌍이다. 두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의 거리는 3백pc까지 멀어진다. 그래도 이 천체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물체중의 하나다.'
이중성
단'(NGC869와 NGC884)은 북반구 하늘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유명한 산개성단이다. 메시에가 이 찬란한 천체에 대해 알고 있었음이 틀림없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목록속에 넣지 않은 것은 놀라운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멋진 별의 4중주를 형성하고 있다.그러나 엡실론 별이 이 별자리에서 볼 만한 유일한
이중성
은 아니다. 셰리아크(Sheriak, 거북이)로 불리는 베타(β) 별은 8등급의 푸른 별과 우유빛 주성이 어우러진 매혹적인 쌍으로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성은 그 자체가 13일을 주기로 해서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안에서 어두운 몇 개의 별들을 추가로 보여준다.NGC 6517은 3등성인 뉴(ν)이성과 5등급의
이중성
타우(τ)성 가운데 있다. 10등급 에 4.3'크기인 이 천체는 작고 어두우나 밀집된 모습을 보인다. 이곳의 별들은 한 무리로 집중돼 있기때문에 분해해 볼 기회가 거의 없다.NGC 6426은 뱀주인자리 북동쪽 β성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황색 거성과 6등급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구성된 카파(κ)별은 관측하기 쉬운 멋진 안시
이중성
이다.에타(η)별과 제타(ζ)별의 중간에는 전 하늘에서 가장 큰 구상 성단(globular cluster)중의 하나인 M13이 있다. 이 성단에는 수십만개 이상의 별이 모여 있으며 그 구의 지름은 1백 광년이나 된다. M13은 우리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별을 따로 광학적
이중성
(혹은 안시
이중성
)이라고 부른다.
이중성
중에서 밝은 쪽 별이 주성, 어두운 쪽이 반성(동반성)이다. 동반성이 두 개 이상인 별은 삼중성, 사중성 으로 부른다. 별의 나이별은 수소를 헬륨으로 전환시키는 핵융합 반응(수소폭탄의 원리)을 통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