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난감"(으)로 총 5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오렌지 전지로 친환경 시계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극과 평평한 (-)극을 잘 확인해야 해요. 방향을 제대로 맞춰야 전기가 흐르고, 이 힘으로 장난감이 움직일 수 있거든요. 전기는 전자의 흐름이에요. 전지에서 전기가 흐르는 이유는 (+)극과 (-)극의 금속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에요. 어떤 원자나 분자가 전자를 잃는 것을 산화 반응,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건전지도 없는데 걷는다고? 중력의 비밀, 워킹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 볼트와 너트야말로 워킹토이의 핵심이에요. 무거운 금속으로 만들어진 볼트와 너트는 장난감의 무게 중심을 결정하는 동시에, 뒷다리의 회전축이 돼요. 워킹토이의 뒷다리가 경사로를 디디도록 올려놓으면, 경사 때문에 워킹토이의 무게 중심이 뒷다리 앞쪽으로 나와요. 그래서 워킹토이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앞으로 가고 왼쪽으로 도는 등 움직일 때마다 종이카드를 일일이 대야 하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에요. ‘함수’와 ‘조건’을 이용해 복잡한 명령도 수행할 수 있지요.‘함수’는 원래 수학에서 배우는 용어예요. 어떤 값을 입력했을 때 그에 대응되는 값을 내놓는 틀을 함수라고 하지요. 예를 들어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도 치매에 걸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도움이 됩니다. 머리를 많이 쓰게 하는 일도 중요합니다. 밥그릇에 밥을 주기보다는 퍼즐 장난감에 먹이를 줘서 가능한 머리를 쓰도록 해줍니다. 치매로 확인되면 약물 치료도 반드시 병행해야 합니다. 치매는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진행 속도를 충분히 늦출 수 있습니다. 치매는 ... ...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공개해둬요. 누구나 암호를 만들 수 있지만 푸는 건 자신만 할 수 있도록 말이에요. 다시 장난감을 사는 상황으로 돌아가 보죠. 구매자는 온라인 상점 주인이 올려놓은 공개 키를 가져와서 내 계좌번호를 암호로 만들어 전송하고, 상점 주인은 자신만 가진 개인 키를 사용해 이 암호를 다시 원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코딩 로봇 ‘코딩펫’을 기억하나요? 코딩펫은 로봇과 함께 놀면서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장난감이에요. 이번에 소개하는 건 2세대 코딩펫, ‘밀키’예요. 코딩펫 밀키는 감정 코딩, 사고력 카드 코딩, 창의력 프리 코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딩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 줘요. 그 중 ‘사고력 카드 ... ...
- [Culture] 고양이가 자꾸 밖에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밥을 채워 주니 일상이 비교적 지루하다. 따라서 고양이가 잠들기 1시간 전에 20분가량 장난감으로 열심히 놀아주는 게 좋다. 고양이마다 좋아하는 놀이는 다르다. 어떤 고양이는 레이저 포인터로 놀아주는 것을 좋아하고, 또 다른 고양이는 작은 공이나 낚싯대로 놀아주는 것을 좋아한다.놀이가 ... ...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골치 아픈 포물선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배그에선 ‘치킨’ 좀 뜯을 수 있다는 겁니다! 총 잘 쏘는 비법은?가짜 총알이 나가는 장난감 총을 쏴본 사람 있나요? 뜬금없이 이걸 왜 물어봤냐. 저처럼 게임에서 총을 못 쏘는 사람은 대부분 ‘이 놈의 똥손’하며 자기를 탓합니다. 물론 손놀림이 빠르고 정확하면 잘 쏘는 게 맞지만, 손 탓만 ... ...
- [Culture] 강아지가 무서워해서 산책을 못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클래식을 틀어준다. 집에 손님이 방문한 경우에는 강아지가 방에서 혼자 간식을 먹거나 장난감을 갖고 놀 수 있게 해야 한다. 간혹 분리불안증이 있어 가족과 떨어져 혼자 방에 있지 못하는 강아지라면 손님이 강아지를 쳐다보거나 만지지 않게끔 해야 한다. 신경전달물질 균형 맞추는 약물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수를 써서라도 많이 뵈려고요. 바르가바 교수님 연구실에는 루빅스 큐브나 퍼즐 같은 장난감이 있어요. 잠깐 머리를 쉬게 할 용도로 가져다 놓은 걸 수도 있지만 영감을 얻기 위해 둔 걸 수도 있어요. 교수님이 박사과정 때 루빅스 큐브를 돌리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올라 기존 가우스의 연산법칙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