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대학"(으)로 총 2,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드디어 대망의 마지막 교시입니다.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는 ‘조합론적 디자인’의 난제인데요.이 분야는 조건에 맞게 일정을 짜거나 조를 짜는 방법 등을 연구해요.프로야구의 예시를 보고,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세요. 각 프로야구 팀은 각자 속한 지역 즉, 연고지를 가져 두 팀이 경기할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2000년대 초, ‘닷컴버블’이라는 시기가 있었다. 전문가들이 사용하던 인터넷이 일반인에게까지 영향을 주는 PC통신으로 퍼지던 시기. 수많은 연결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던 시기다. 마샬 맥루한이 말했던 ‘지구촌’이 처음 실현됐으며,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감 ... ...
-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꿀벌들은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꿀벌들이 어디서, 왜 대규모로 사라지게 됐는지, 그 이유를 알아볼까요? 꿀벌이 자라나는 데 필요한 꽃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식물을 ‘밀원식물’이라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아까시나무가 대표적이에요. 아 ... ...
- [똥손 수학체험실] 종이상자로 뚝딱뚝딱 로봇 친구 '프로보'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똥손 기자가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에 나오는 캐릭터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프로보’! 물건을 사고 남은 종이 상자를 물끄러미 보던 똥손 기자는 생각했어요.‘흠, 종이 상자를 버리긴 아까운데 이걸 이용해서 프로보를 만들어볼까?’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무엇인가를 만드는 활동을 ‘메 ...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2014년 서울시는 ‘모기 예보제’를 국내 최초로 시행했어요. 서울시와 협력해 모기 예보제를 수행하는 연구팀에서 5~10월 사이의 모기 발생 가능성을 수치화해 모기 발생 단계를 예보하고 시민들에게 행동요령을 알려주지요. 연구팀은 모기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모기 개체 수 예측 계산식 ... ...
- [인터뷰] 논리적인 수학과 섬세한 베이킹의 만남, 조한빛 파티시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옥스퍼드대 수학과 출신 파티시에?’기삿거리를 찾던 기자의 눈이 번쩍 뜨였습니다! ‘수학과 베이킹 사이에 공통점이 있는 걸까’ 하는 호기심 반, ‘인터뷰 중 달콤한 디저트를 맛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 반으로 당장 인터뷰 일정을 잡았습니다.예상과 달리 슈가레인 베이킹 스튜디오 ... ...
- [기획]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꿀벌이 사라진 건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이미 2000년대 중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감소하고 있다며 우려하고 있지요. 꿀벌이 사라진다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벌이 사라지고 있다고 처음 문제가 제기된 곳은 2006년 11월 미국이었습니다. 벌집에 식량이 충분 ... ...
- [특집] 냉정한 기술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개발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인류가 멸망해 컴퓨터를 못 쓰게 되지 않는 한 개발자 수요는 늘 있을 것입니다.”개발자 위기론이 나오는 상황에서 개발자의 전망에 대해 묻자 천민지 엔지니어(크래프톤 플랫폼실 프리미엄 데브 팀장)는 “여전히 개발자는 매우 전망 있는 직업”이라고 일축했다. 천 팀장은 올해로 9년차에 접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요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신경다양성’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신경다양성이 무엇인지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를 번역한 강병철 번역가 겸 소아과 의사에게 들었다. 자폐란 현상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미국의 소아정신과 의사 레오 카너다. 카너는 존스홉킨스 대학병원에서 일하면서 ‘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교과세특을 준비하면서 원하는 학과와 진로를 빨리 정해야 할 것 같은 부담이 더 커진 친구들도 있을 겁니다.그런데 오늘 교과세특 이야기를 들려줄 김채연 고려대 생명과학부 4학년 학생은 “꼭 일찍 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 전공적합성을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해 이번 호에서는 김채연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