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리"(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송 교수는 “(센터에는) 컴퓨터 공학, 건설공학, 심리학, 언론정보학, 경제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다”며 “재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진정한 의미의 융합연구”라고 말했다 ...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보는 한국의 성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국인의 성씨는 혈통과 지리적인 출신을 나타낸다. 그런데 지역별로 성씨 분포를 살펴보면 안동 권씨는 주로 안동 쪽에 많이 살지만 밀양 박씨는 전국에 고루 퍼져 있다.우리나라 성씨 분포에 대한 통계물리학적인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닿은 명당오른쪽 벽화를 본 적이 있나요? 노란 옷을 입은 사람은 중국 명나라 최고의 풍수지리가 ‘두사충’입니다. 두사충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원군으로 조선에 왔는데, 조선의 지세를 살펴서 적합한 장소에 진지를 정하는 것이 그의 임무였습니다.전쟁이 끝나자 두사충은 명나라가 기울고 ...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전체 과정을 따라가던 중, 전자현미경실에서 멸종위기식물인 매미꽃을 볼 수 있었다. 지리산에서만 볼 수 있는 꽃이다. 전자현미경으로 보이는 매끄럽고 복잡한 패턴이 인상적이었다. 이동준 산림청 산림복지시설사업단 시설과 연구원은 “매미꽃 같은 멸종위기식물을 우선순위로 수집해서 종자를 ...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급격히 늘었다. 그러나 이처럼 거대한 육상 포유류는 금세 멸종했다. 연구팀은 각 대륙의 지리적 특성과 관계 없이 기온이 낮아지고 그 종의 서식지가 넓어질수록 종의 몸집이 커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반대로 말하면 기온이 꾸준히 높아지고 서식할 수 있는 땅의 면적이 좁아지면서 거대한 ...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라마누잔은 인도에서 태어난 천재 수학자다. 어렸을 적부터 수학뿐 아니라 영어, 지리학 시험을 지역 수석으로 통과할 정도로 영특했다. 하지만 가난한 집안 형편으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회계사로 일하게 된다.어려운 가정형편도 수학에 대한 라마누잔의 열정을 막을 순 없었다. 라마누잔은 ...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방향과 위치를 알 수 있을까. 지난 6월 과학잡지 ‘사이언스’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리 및 행성학과 조세프 커슈빙크 교수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doi: 10.1126/science.aaf5803). 커슈빙크 교수는 알루미늄 벽에 코일을 넣어 인위적으로 자기장을 걸 수 있는 방 안에서 사람이 ... ...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마찬가지로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원인이었다. 그런데 당시 페스트균이 퍼졌던 지리적 범위와 사망에 이르게 한 영향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최근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인류사학과 마이클 펠트만 박사팀은 당시 페스트균의 유전자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으로 죽어 독일에 ...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돌들을 채워(뒷채움돌) 이것들의 마찰을 통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했다(대한지리학회지 42(3), 2007.6, 315-331).한편 문화재는 지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현재는 터만 남아있는 황룡사 9층 목탑, 첨성대, 불국사, 석가탑 등에 큰 지진 이후의 수리 기록이나 흔적이 ...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단풍 시작일을 예측하는 온도-광주기 모델(TP 모델)을 개발해 ‘세계 생태와 생물지리학’ 2014년 11월호에 발표했다(doi: 10.1111/geb.12206).이런 회귀 모델은 단풍 시작일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을까.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1989년부터 2014년까지 8개 관측소에서 관측한 단풍 시작일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