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체
미루기
연체
지연시간
시간
연기
연
d라이브러리
"
지연
"(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작전명령을 내리게 된다.만약 민간 항공기에 인공지능이 탑재된다면 항공기 이륙이
지연
되는 상황이 더욱 줄어든다. 항공교통 관제센터 컴퓨터와 항공기에 탑재된 컴퓨터간 통신을 통해 항공기들의 이륙시간과 교통 관리를 정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사람이 조종하지 않아도 출발지와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소식을 전했다. 엘즈워스 호수에 닿기 위한 천공 작업은 대체 부품을 전달 받기 전까지
지연
될 예정이다.남극의 척박한 환경 때문에 천공 작업은 남극의 봄과 여름에 해당하는 11월과 다음 해의 1월 사이에만 가능하다. 또 얼음을 뚫는데 성공한다 해도 불과 24시간이면 시추공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설명하는 중력이 일으키는 시간
지연
효과를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반대로,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은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시속 1만 4000km(초속 3.89km)로 이동하는 GPS 위성의 시간이 오히려 더디게 흐르는 것처럼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완성도가 있지만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궁금증까진 해결해 주지 못했다. 시간
지연
과 시간 가속으로 생기는 오차를 어떤 과정을 거쳐 보정하는 것일까. 기기마다 지도 앱 등의 오류가 자주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이런 내용까지 담기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가려운 곳 긁어주다가 관둔 느낌을 ... ...
스마트폰 속의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말해주는데 결국 어떻게 되는 것인가. 실제로는 중력에 의한 시간가속효과가 시간
지연
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결국 GPS위성에서는 지구보다 하루에 약 38마이크로초(0.000038초)만큼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 거리로 볼 때는 하루의 시간차이에 빛의 속도를 곱한 약 11.4km만큼의 거리차이가 생긴다.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신의 상태를 점검한다. 지구에서 화성에 있는 로보너트2를 원격 조종할 때 생기는 시간
지연
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다는 뜻이다.로보너트2는 2011년 2월 우주왕복선에 실려 국제우주정거장으로 갔고, 그해 10월 처음으로 무중력 상태의 우주공간에서 작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로보너트2는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놀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에 급하게 호르몬 중지 명령을 내려 배란을 억제하거나
지연
시킨다. 또 자궁경부 점액을 끈끈하게 만들어 정자의 이동을 방해한다. 수정이 이뤄지는 난관의 운동능력도 떨어진다. 이어 자궁내막을 변형시켜 착상을 막는다.종교계는 응급피임약이 낙태약이라고 주장한다.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난 2004년 ‘카비르’라는 최초의 웜바이러스(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
또는 방해하는 악성프로그램)가 발견되면서 스마트폰도 악성코드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알게 됐다.카비르가 발견된 초기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전파, 배터리를 빨리 소모시키는 정도의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백혈구의 면역 활동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일시적으로 고갈시켜 급성염증을
지연
시키는 효과가 있다.진통작용도 탁월하다. 남미에 서식하는 살모사의 독에서 분리한 니록신은 엔돌핀을 활성화킨다. 코브라 독에서 신경을 마비시키는 코브로톡신 역시 통증을 마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과학동아’ 1월호 기고문에서 “도시는 혈연이나
지연
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목적이 일치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며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연구를 뒷받침하는 인프라와 도구다. 연구가 실질적으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