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코딩으로 널 찾으러 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진흙탕, 물웅덩이, 그리고 폭탄까지?! 장애물을 통과해 보물을 찾을 수 있도록 여러분이 직접 코딩해 주세요. 보물 상자로 가는 길이 다양해서 코드 블록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열할 수 있어요. 보물 상자에 도착할 수 있다면 모든 방법이 맞지만, 코드 블록을 간결하고 읽기 쉽게 나열할수록 더 ... ...
- [JOB터뷰] 캐릭터에 숨결을 불어넣다, 디즈니 애니메이터 윤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친구인 발렌티노가 마법의 가루를 먹는 장면에서 노란 가루가 반짝이며 떨어지는 효과는 직접 손으로 그리고 이어 붙이는 2D 기법으로 완성했죠. Q애니메이터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애니메이터는 캐릭터에 활기를 불어넣는 사람이에요. 매일 모든 것을 관찰하고, 대상의 재미있는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비교해야 하는 종의 표본들이 해외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경우가 많아, 열람을 신청하고 직접 보기까지 절차가 까다롭죠. 비교 결과 해당 표본이 새로운 종이라고 판단되면, 종의 특징과 새로운 학명을 기술한 학술 논문을 발표합니다. 이때 다른 생물의 학명과 중복되지 않도록 오랜 시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3’와 연계돼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음날 날씨 같은 최신 정보가 필요하면 직접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웹브라우징 기능도 가능해졌죠.국내외 여러 기업은 바드, 뤼튼처럼 챗GPT에 맞서는 다양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특정한 조건에서만 기능할 수 있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문득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떠올랐지요. 섭섭박사님은 다누리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고 나섰습니다. 만들어 보자! 다누리 미니블록 이번 시간에는 다누리 미니블록을 조립해 볼 거예요. 다누리 미니블록은 레고처럼 작은 조립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선 부품 중 가장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배열된 도형에서 다양한 규칙을 찾을 수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로 장식한 파운드케이크의 규칙을 찾고, 나만의 규칙을 만들어 빈 파운드케이크 위에 직접 그려 보세요. “장식을 모두 마쳤다면 따끈따끈한 빵들이 식기 전에 배달해야 하니 서두르라곰 ... ...
- 비결은 어과동? 한도하 독자, 202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추가하려고 하고, 뭔가 시작하기 전에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시간이 꼭 있습니다. Q. 평소 직접 설계하고 만드는 것을 좋아하나요?책을 읽지 않을 때는 레고를 조립하는 것도 좋아해요. 떠오르는 로봇 아이디어를 어렸을 때부터 모은 노트도 있지요. 몇 년 전부터 3D 프린터를 집에 두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거야!”카이의 표정이 환해졌습니다. 겔다와 카이는 고민 끝에 얼음 성에 가서 탕후루를 직접 만들기로 했어요. 설탕과 귤, 꼬치 등 준비물을 모두 챙겨 얼음 성으로 향했죠.“아니, 이게 다 뭐야?”두 손 가득 짐을 챙겨 온 겔다와 카이를 보고 눈의 여왕이 놀라 물었습니다.“혼자 쓸쓸하실 것 같아 ... ...
- [출동! 슈퍼M] 뜨개질을 잘하는 방법이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바늘로 뜨개질해야 좋을까? 이번 겨울에는 목도리를 직접 만들고 싶어서 할머니께 뜨개질을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할머니가 만드신 목도리에 비해 제가 만든 목도리는 실의 모양이 삐뚤빼뚤해서 예쁘지 않아요. 뜨개질을 잘하는 방법이 있나요? 긴 대나무로 만든 대바늘은 끝이 뾰족해요. 똑같이 ... ...
- 빈대, 우리집에 있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특징은? 빈대가 우리 집에 들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단서는 3가지가 있습니다. 빈대를 직접 발견했거나, 빈대의 배설물을 발견했거나 빈대에 물렸을 경우죠. 빈대는 크기가 약 5mm라 눈에 보이지만 꼭꼭 숨어 있어 발견이 쉽지 않습니다. 대신 빈대는 피를 소화한 뒤 거무튀튀한 배설물을 남깁니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