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들 수 있다. 이원철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유학해, 1926년 미시건대 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인 최초의 이학박사가 됐다. 그의 박사 학위논문 주제는 독수리자리 에타(η)별이 밝기가 변하는 이유에 대한 고찰이었다. 독수리자리 에타별의 존재와 그것이 변광성이라는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없는 빈 땅이라면 우리는 마음대로 개발하고 파괴하고 모습을 바꿔도 될까요? 몇몇 천문학자와 철학자, SF작가들은 다른 세계를 테라포밍하려는 시도가 윤리적인지 논쟁합니다. 이 문제를 ‘테라포밍의 윤리’라 부르죠. 테라포밍 옹호자들은 인류와 지구 생물들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고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과학자들의 관심사가 곧 대중과 사회의 관심사가 되도록 노력하는 커뮤니케이터, 그리고 천문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Q. 은하를 사랑하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난 6개월 동안 ‘최애 은하’ 시리즈를 아껴주신 독자 분들,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이야기를 읽어주실 모든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행성과학연구소와 NASA 등 공동연구팀은 화성 북반구 물 분포지도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0-01290-z 연구팀은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 궤도선 등이 수집한 데이터 20년 치를 분석해 이 같은 지도를 만들었다. 땅속에 물이 묻혀있는지 아닌지 알아내려면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초승달에서 보름달을 지나 그믐달이 되는 과정인 월령 변화를 찍었는데, 밤새 천문대에서 달을 보다 끓여 먹은 라면 맛이 지금도 기억나요. 여름방학엔 친구들과 함께 여고생 물리 캠프에 참가했어요. KAIST의 연구실에서 조교님의 도움을 받아, 파란 색소가 없는 모르포나비의 날개가 왜 파랗게 ... ...
- [화보] 우주를 헤집는 해파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별을 향해 꿈틀거리더니 푸른 촉수를 뻗는다. 해파리 성운(IC 443)을 담은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지구의 밤하늘과 태양계, 그리고 깊은 우주의 아름다움을 담은 작품 294점이 출품됐다. ...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1973년 한국 최초 과학연구단지를 만들다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논문이 발표되면 한국천문연구원을 찾습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모형 빙성능 시험이 진행됐습니다. 챗GPT에 대한 자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에너지, 항공, 화학,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유령 은하의 심장이 감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은하의 질량이 그 중심에 핵 성단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의 경계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이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촬영 결과와 과거 허블 우주망원경 촬영 결과를 종합해 M74 중심에서 빛나는 핵 성단 속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M74 중심 핵 성단 속 별들은 대부분 나이가 아주 ... ...
- [헷갈린 과학] 지구를 찾아오는 손님, 소행성 vs 혜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지구 가까이 다가와 사람들을 긴장시키는 소행성과 혜성! 천문학자들은 두 천체가 지구와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늘 둘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소행성과 혜성, 둘은 어떤 점이 다를까요? 소행성 소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 가운데 행성보다는 크기가 작은 천체를 ...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또 다른 차원의 확장은 멈추어 있던 도형에서 움직임을 반영한 도형까지 나아갔어요. 천문학에서는 기하학을 이용해 행성, 별 등의 움직임과 위치를 연구했고, 물리학에서는 입자의 움직임을 탐구했지요. 이 모든 확장의 끝은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1646~1716)의 사례로 이야기할 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