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키"(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물리학상 vs 역학상 사람들이 안 부딪친다 vs 부딪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때문에, 원래 가려던 경로를 수정해서 다른 사람과의 충돌을 피한다고 분석했어요. 토스키 교수는 “사람들의 ‘흐름’을 예측해 혼잡한 상황을 예방하는 것 또한 유체 역학의 응용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역학상그럼에도 사람들이 부딪치는 이유는? 스마트폰 때문!사람들이 서로 ... ...
- [마인크래프트] 나만의 마법 무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웅크리는 동작은 비행 상태가 아닐 때만 할 수 있는 동작이에요. 비행 상태일 때는 shift키를 누르면 아래로 내려가는데 웅크리는 동작과 비슷하게 보인답니다. 세 번째 마법 무기 코드 수정하기 이제 마법 무기 코드를 수정하여 일정한 에너지가 모였을 때만 마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볼게요. ... ...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의 날개 길이는 약 2.7m고, 키는 약 1m였어. 볏의 길이는 무려 40cm로 키의 40%를 차지하고, 머리보다 5배나 길었지. 화석을 컴퓨터 단층 촬영(CT)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우리가 비행에 필요한 뼈와 근육을 가지고 있었지만, 머리가 크고 목이 길어서 멀리 날기는 힘들었을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시작합니다.미국의 발명가 J. 오스터하우트는 1866년 10월 2일 통조림을 여는 ‘트위스트 키 오프너’ 방법으로 특허를 받습니다. 통조림에 달린 열쇠 모양의 따개를 돌리면 통조림 옆이 벌어져 쉽게 열렸죠. 이외에도 끌을 닮은 것, 원형 칼날이 달린 것 등 다양한 종류의 통조림 따개가 나왔어요. 현재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 설계의 필수 조건, NPC를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코드에 별도로 추가한 뒤 ‘몹-몬스터’를 가져와 넣으세요. 16 ‘플레이어-다음 치트키 실행’ 명령블록을 가져온 뒤 명령 ‘/dialogue open @e[name=reward] @s’을 작성하세요. 앞서 생성한 ‘reward’ NPC의 대화를 불러오는 명령이에요. 17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너의 목소리를 들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전자 장비도 초음파를 내곤 해서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데도 쓰일 수 있어요. 빌 풀키 연구원은 “산업 현장의 사고를 줄이고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개념 퀴즈코끼리는 초저주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O , X ) 에필로그꿀록 탐정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사라진 샤롱가! 어떻게 납치된 거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뭐?”용용이 힘을 더 빼자 해적이 용용에게서 빠져나왔습니다. 그리고 딱지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저 사람이 이무기인 샤롱가의 의상을 입은 용기가 대단해서 ‘엄지 척’을 해주려고 했단 말이에요!”“그, 그게 정말이야?”용용이 당황하며 물었습니다. 딱지가 용용을 한쪽으로 데리고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똑똑한 코딩 로봇 ‘에이전트’로 건축을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블록을 선택한 뒤 개수는 최대로 정해주세요.➌ 에이전트를 건축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작성하세요.➍ ‘반복’ 명령블록을 가져와 반복 횟수를 4회로 입력하세요. 여기서 ‘4회’는 만들어질 지붕의 벽 개수를 의미해요.➎ ‘반복’ 명령블록을 가져와 반복 횟수에 변수 num1을 넣어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두 발로 뛰고, 돌면서 뛰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캥거루들은 두 발로 뛰며 달릴 수 있었다는 게 밝혀졌어요.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벤자민 키어 박사는 아주 오래된 캥거루 화석을 발견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캥거루는 초원에 살기 전부터 두 다리를 사용해 빠르게 뛰며 환경에 적응했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우리가 ... ...
- 크리스마스트리가 위험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소나무와 닮은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다가 1900년대에 유럽으로 전해졌어요. 키가 크고 잎이 풍성해 서양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래프 읽어줌이채린 기자 │지난해와 올해 열매를 맺은 한라산 구상나무의 평균 열매 수를 비교해 보여주고 있어요. 지난해엔 평균 6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