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사"(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의 블록, 외계에서 왔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01955 베누’의 시료를 가지고 지구로 돌아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기다리고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하야부사 2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시료를 채취해서 더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외계에 유기물이 풍부하다면, 첫 번째 생명이 외계에서 먼저 탄생했을 ...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외계인의 존재를 찾는 연구소가 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어? 최근 미국의 외계지적생명탐사(SETI) 연구소의 인공지능(AI)이 외계인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 ... 패턴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 프랭크 마치스 연구원은 “AI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어.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5배가 넘는 10톤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발사체는 대형 위성이나 달, 화성 탐사선 등 우주 탐사에 활용될 예정이다. 조 책임연구원은 “나로호로 많은 것을 배웠고, 누리호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한다. 때문에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을 목전에 두고도 “이제 못할 게 있겠냐”고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더 잘 준비할 수 있다. ▲ 2022년 12월 지구를 떠난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무인 탐사차량 ‘라시드’가 4월 말에 달에 착륙해 임무를 개시할 계획이다. 라시드에는 AI 장비가 탑재됐는데 이는 AI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 궤도를 벗어난 사례다. 이 AI는 카메라에 잡힌 달 표면 영상을 즉시 ... ...
- 내가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행동했나요? 우주 쓰레기, 지구 어디에나 떨어질 수 있다 인류가 우주로 발사한 로켓, 탐사선 등을 통틀어 인공우주물체라고 합니다. 지상으로부터 수백~수만km 상공의 지구 궤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이 가장 대표적이죠. 그런데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이나 인공우주물체는 어떻게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10만 광년이나 되는 아주 거대한 우리 은하에 파묻혀있다. 반세기 전에 보낸 인류의 우주탐사선은 아직도 태양계를 탈출하지 못했다. 즉 이렇게나 거대한 우리 은하의 전체 모습을 인류는 한 번도 직접 본 적이 없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런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가장 가깝지만 가장 미스터리한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메신저호와 수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이번엔 네 번째 탐사선을 만나 볼까?메신저 호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린 수성 탐사선이에요. 2004년부터 수성 주변을 돌며 연구했지요. 덕분에 수성의 북극에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2015년 4월, 연료가 떨어진 메신저 호는 수성의 표면으로 떨어졌어요. 마지막 순간까지도 ... ...
- [포토뉴스] 가장 가까이서 포착한 용암 뒤덮인 이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목성 탐사선 주노가 목성의 세 번째 큰 위성 이오를 역사상 가장 가까운 5만 1500km 거리에서 3월 1일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이오 표면은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얼룩덜룩해 보인다. 표면의 빨강, 노랑, 주황, 검정 등 다채로운 색깔은 용암이 흐른 흔적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1년 8월 발사한 ... ...
- 자연 덕후, 젊은 연구자 첫발 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함께 (지오북, 2019)라는 책 제작에도 참여할 수 있었지요. Q. 탐사 중 가장 짜릿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준서 형과 함께 ‘루리하늘소’를 찾아 떠났던 여정은 지금도 잊을 수 없어요. 전문가가 알려준 서식지대로 강원도 산골의 큰 계곡을 거슬러 올라갔어요. 나중에는 ... ...
-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주변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팝콘플래닛 시민과학콘에 탐사기록을 올려주면 실제 생태 연구자들이 논문을 쓰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합니다. 가족과 함께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연구에 참여하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