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제"(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충전도 이상없이 진행됐다. 그런데 발사 22분 전, “어! 이게 뭐야!” 외마디 비명이 발사통제센터에 울려퍼졌다. 발사준비 최종 점검 단계에서 2단 로켓 추력방향제어기(TVC)를 구동하는 유압모터 제어기에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포착된 것이다.나로호 내부를 확인해보니 유압모터 ...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다. 더 정교한 사격을 위해 사격 과정 전체를 제어하는 사격통제시스템이 개량됐고, 사정거리가 50km로 더 늘어났다. 이보다 사정거리가 긴 자주포를 확보한 국가는 미국과 러시아, 독일, 중국 네 개 나라뿐이다. 육군의 화력은 미사일에서도 한 단계 더 세졌다. 최근에 개발한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현재 로비틀은 앞으로만 움직일 수 있으나 향후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다. 로비틀은 로봇 분야 연구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라이언 트루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 및 인공지능실험실 교수와 슈광 리 하버드대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통제하며 가상화의 핵심 역할을 한다. 가상머신들의 동작을 분석, 감시, 행위 통제를 하는 것이다.이를 이용해 개발된 VMI는 가상머신 내부 상태를 분석해 외부 침입을 탐지한다. 가상 메모리의 내용, CPU 등의 활동을 보고 가상머신의 악성 행위를 찾는 것이다. 이것으로 가상머신이 발생시키는 ... ...
-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건, 64일 만의 귀환 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확인도 할견 지인에게 전화를 걸고 있었어요. 첫 번째 전화는 휴스턴에 있는 NASA의 임무통제센터 비행 책임자인 앤서니 바레하에게 걸었죠. “여보세요, 밥과 더그에요. 우리는 지금 대양에 있어요”라고 하자 그가 “알아요. 보이네요”라고 답했죠. (웃음) 밥과 저는 이번 크루드래건 임무를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못한 결말을 맺었다. 나로호 발사 후 137초경 갑자기 나로호와의 통신이 두절됐다. 발사통제동의 대형 스크린에 실시간으로 그려지던 나로호의 비행궤적이 갑자기 멈췄다. 발사대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약 68km 고도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난 것이다. 당시 나로호는 초속 1.7km로 비행하고 있었기 ... ...
- 바이러스 사냥으로 미래 유행할 전염병을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유행할 전염병은 코로나19처럼 동물에게서 전염돼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WHO 등에 따르면, 다시 유행하거나 새로 등장한 전염병의 75%가 동물에게서 전염된 인수공통감염병이었거든요. 이에 과학자들은 동물이 지닌 모든 바이러스를 검출해 정보를 모아두려고 하고 ...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탐사 과정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다. 프로젝트에 관여하는 과학자들은 언론 접촉에 통제를 받고 취재에도 전혀 응하지 않는다. NASA나 유럽우주국(ESA)이 우주 탐사 과정을 공개하고 다른 나라와 협력을 진행하는 것과는 상반된 행보다. 러시아를 제외하고는 국가 간 협력도 거의 없다. 중국이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5시, 나로호의 역사적인 첫 비행이었다.발사 540초 후 위성 분리 성공, 그러나… 발사통제동은 흥분으로 들썩였다. 일주일 전 발사 시도에서는 이륙 7분 56초를 남겨두고 자동 발사 초읽기 시계가 멈춰 아쉽게 나로호를 발사대에서 철수해야 했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900초가 순조롭게 지나갔다.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산만하고 충동성과 학습장애를 보이는 질환으로 10대에게 흔히 나타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16년 미국에서 17세 이하 청소년 중 9.4%가 ADHD 진단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7~12세 미만 어린이 2만9335명 가운데 8.5%가 ADHD 진단을 받았다는 조사 결과가 ‘대한의학회지(JKMS)’에 실렸다. doi: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