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그램"(으)로 총 3,9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수 있는 센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허브가 들어 있다. 블록과 모터를 조립한 후 만든 프로그램을 코딩하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물건을 설계할 수 있다. AI 학습 모델을 통한 놀이기구 제어까지 배웠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물건을 만들 시간. 각 팀은 주제를 정해 간단한 ... ...
- [People] 62조까지 원주율 계산한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알고리듬으로 마지막 32개의 자릿수를 확인하는 데 14시간이 더 걸렸어요. 원주율 계산 프로그램인 와이-크런처는 계산할 자릿수를 미리 결정해야 해요. 우리 팀의 팀장인 헤이코 뢰케 연구원이 2π×1013에 해당하는 62,831,853,071,796자리까지 계산하자고 제안했어요. 컴퓨터는 필요한 자리까지 계산을 ...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쉬는 시간을 쪼개서라도 일을 하면 다양한 길이 열릴 것으로 생각했지요. 2018년 예능 프로그램 ‘라라랜드’ 측에서 미국에서 변호사 생활을 하는 모습을 담고 싶다고 연락왔을 때도 크게 고민하지 않았어요. 같은 해 블로그에 적던 일기가 인기를 끌자 출판사로부터 일기를 묶어 책을 내자는 ... ...
- [특집] AI로 똥손 기자도 웹툰 작가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편집부도 AI 프로그램으로 웹툰 만들기에 도전했어. chatGPT가 만드는 상상 초월의 스토리와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의 그림 실력에 편집부도 깜짝 놀랐다는 후문! 하지만 작가님들의 후기처럼 스토리와 그림 모두 디테일이 떨어지는 등 한계도 분명히 있었지. ●AI로 웹툰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프로젝트다. 한국, 일본, 유럽, 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와 함께 진행하는 국제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이다. 반대 유형인 폐쇄형 거버넌스에는 러시아의 우주기관 ‘로스코스모스’가 있다. NASA는 민간기업과의 협력도 활발하다. 우주 스타트업 ‘컨텍(Contec)’의 이성희 대표는 “뉴스페이스라고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그림 작가에게 의뢰해 그린) 커미션 그림을 AI 그림 프로그램에 돌려봤다가, 해당 프로그램 AI가 그 그림을 학습해 유사 도용하는 사태가 벌어졌다”는 문장 등에서 등장했다. AI가 ‘인간스러워’ 지려면, 인간을 배우는 과정은 필수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인간에게 피해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교통공학자랑 도로 건설 게임을 해봄 Freeways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가깝습니다. 최 연구원은 “실제로 도로를 짓기 전 프리웨이즈와 비슷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도로를 구획하고, 교통시스템의 최적 운영 방식을 찾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뿐만 아닙니다. 자율주행 인공지능을 가르치기 위해 범죄 액션 어드벤처 게임인 ‘GTA V’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doi.org/10. ... ...
- [수학 플레이리스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원리, 쉽게 알자~! 인공지능은 스스로 정보를 익히고 공부해서 사람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도록 하는 시스템이에요. 인공지능이 공부하려면 수학이 꼭 있어야 하지요. 그 원리는 무엇인지, 예비 초등학생부터 6학년까지 단계별로 나뉜 책을 읽고 책 속의 재미있는 수학 활동에도 참여해 ... ...
- 우동수비대 3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손을 씻거나 소독하도록 안내하지 않았습니다. 사육사에겐 물어보지 못했지만, 풍부화 프로그램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대전 모 동물원정다연 대원각 종의 습성에 맞는 바닥이나 구조물이 있나요? 아니다동물사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 없이 깨끗한가요? 아니다동물이 관람객의 눈을 피할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Seq2Seq 모델은 사용자가 첫 행을 입력하면 그에 어울리는 다음 행을 제시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이 시에서 인간은 ‘아주 한참을 기다린다’란 행만 썼다. 뒤를 이어 두 번째 행부터 끝까지 쓴 건 AI다(5행의 ‘열어주는’은 ‘열어줄’의 오타로 보임). 시인, 작곡가, 화가. 모두 AI가 대체할 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