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어귀
강어구
후미
협만
강구
d라이브러리
"
하구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죽고 나머지 4마리(수놈 1 암놈 3)만이 생존하고 있다.이들 따오기는 주로 논과 갯벌, 강
하구
와 저수지에서 생활기반을 갖고 밤나무 참나무 등 활엽수의 노거수에 작은 나뭇가지와 마른 덩굴을 주재료로 둥우리를 만들고 그 위에 이끼와 마른 낙엽을 깐다. 산란기는 4-5월 중순이며 담녹색 바탕에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쉽게 접할 수 없는 특이한 산악지역.태백산맥은 원산 부근의 추가령곡에서 낙동강
하구
의 다대포에 이르는 길이 6백㎞의 남북주행산맥. '10대 1'이라는 수치에서 알 수 있듯이 서쪽으로는 2백㎞의 완만한 경사를 이루지만 동쪽으로는 20㎞의 급경사다. 주봉인 태백산(1651m)을 비롯해 금강산(1638m)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변태하기 시작하여 강
하구
에 이르는 동안 먹이를 먹지 않는다. 유리 뱀장어가 강
하구
에 이르면 피부에 검은 색소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때를 실뱀장어라 부르며 뱀장어 양식을 하려면 강으로 올라오는 이들을 잡아 기르면 된다.최근 강물의 오염으로 실뱀장어가 감소, 인공 산란을 통하여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을숙도
하구
둑은 세계에서도 훌륭한 철새도래지로 명성이 높아 지금까지 이 모임에서는
하구
둑공사 반대운동을 해오고 있다.탐조활동 외에도 이들이 벌이는 활동은 다양하다. 적설기와 결빙기에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조류서식을 위한 인공새집을 달아주며 약물에 중독된 야생조류를 데려다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라인강에 방출되자 저서생물과 어류들이 대량 폐사하였고 북해로 유입되는 라인강의
하구
에서 몇 주간 계속 오염물질들이 측정, 발견되었다. 라인강은 서독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의 약 1천2백만명의 주요 식수원이기 때문에 이 사건은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되었다. 강은 모든 사람 가슴 속을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때 약통에 붙은 소형로켓에 불이 붙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폭발한다)은 주로 압록강
하구
의 의주성에서 강건너편에 있는 오랑캐들에게 사용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사정거리는 1.5~2km는 됐던 것으로 추측된다.신기전의 구조는 약통과 발화통(폭탄) 그리고 길다란 안정막대로 구성돼 있다. 발화통을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직접 어장에서 실태조사를 하기도 했다. 한강을 통해 바다로 들어가는 비닐 때문에 한강
하구
부근에서 그물을 올리면 그물코마다 찢어진 비닐이 가득 끼워져 나올 정도다.바다의 플라스틱 오염문제에 관해서는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상황이 고려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서남해안의 수많은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낙동강
하구
탐사에 나섰다. 우리나라 최대 겨울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
는 87년
하구
언 댐공사 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선 철새의 숫자가 크게 줄었으며 앞에서 지적한 대로 바다철새종이 많이 발견됐다.을숙도를 한바퀴 돈 후 을숙도 남단에서 강자도 상륙작전을 시도했으나 수면이 낮아져 ... ...
주남·낙동강
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같은 맥락에서 주목해야될 것입니다.
하구
언 댐공사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조사하려면
하구
언의 상류지역도 탐사해 조류상을 조사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것이 서운합니다.최진복 저는 슬라이드를 학습자료로 쓰려고 사진찍는데 주력했습니다. 생물을 전공했지만 이처럼 조류를 집중적으로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급속히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해 간다. 역S자형의 대운하가 시가지 중심을 지나가고 운하
하구
에 장대한 산마르코광장(廣場)이 자리한 기본적인 도시형태는 산마르코대성당을 비롯한 교회 궁전 등과 더불어 13세기에 벌써 완성돼 있었다. 14세기에서 15세기 초에는 해양무역이 절정을 이뤘으며, 19세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