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땅"(으)로 총 1,0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45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한 기쁜 날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광복절에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애쓰신 분들을 기리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죠. 그래서 퓨처킴은 우리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이 깃든 서대문형무소 역사관과 그 벽에 걸린 태극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현지시간으로 7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만든 탐사선 ‘마스(Mars) 2020’이 화성으로 떠나는 7개월의 대장정을 시작한다. 여기에는 ‘끈기’ 혹은 ‘인내’라는 뜻을 가진 로버 ‘퍼시비어런스(Perseverance)’가 타고 있다. 퍼시비어런스는 2011년 필자가 직접 참가해 화성으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일생의 첫 장면은 숙주를 찾는 얘기로 시작된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생존할 수 없다. 번식을 위해서는 반드시 숙주를 찾아 기생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숙주를 찾는 전략은 단순하다. ‘일단 많이 만들어 퍼뜨 리자’는 생존 전략을 초지일관 고수하고 있다. 맨눈으로 확인하지 못할 뿐 ... ...
- [별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코로나19 사태로 요즘 ‘랜선 여행’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사진을 보며 유명 여행지를 가상으로 방문하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천문학 시민과학프로젝트는 지구 밖 천체로 가상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5월에는 달에 다녀왔는데요, 6월에는 화성으로 여행을 떠나보시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보통난이도▲1976년 1월 운항을 시작한 콩코드 여객기는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동체가 길쭉하게 설계됐다. a이·착륙 시 조종사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코가 구부러진 것도 특징이다. 요란한 소음을 몰고 다녔던 과거와 달리 눈에 띄게 조용해진 초음속 비행기가 돌아온다. 미국항공우주국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안보인다고 무시하지마! 공기의 힘을 보여주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오랜만에 섭섭박사님의 연구실에 들렀는데, 섭섭박사님이 멍하니 의자에 앉아 허공을 응시하고 있었어요. 무슨 고민이라도 있는 걸까 싶어 기자가 뭐하시는 건지 여쭸지요. 그러자…. “아아, 공기를 보고 있지….” “네? 공기요? 큭큭큭. 박사님, 그게 무슨 엉뚱한 말씀이세요?” “자네 지금 ...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번 호주 산불은 많은 생명들의 목숨을 앗아갔어요. 나무들은 불에 탔고, 숲에 사는 동물들은 꼼짝없이 뜨거운 불구덩이 속에 갇혔지요. 산불로 인해 망가진 자연이 다시 예전처럼 돌아올 수 있을까요? 지난 1월 11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에는 2200kg의 ‘당근 비’가 내렸어요. 뉴사우스웨일스 ... ...
- [Dr.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 카멜레온의 사냥을 슬로우 모션으로 보면? 조회수 : 470만 회채널명 : The Slow Mo Guys (구독자 수 : 1300만 명) 여름철에 모기 잡기가 왜 짜증나는지 아세요? 벽에 붙은 모기를 잡으려고 아무리 조심해서 다가가도 어떻게 눈치를 챘는지 휙 날아가 버리기 일쑤거든요. 이런 때엔 카멜레온이 정말 부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번 미션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유적을 찾아내는 겁니다. 땅속에 묻혀있어 알아채지 못하고, 하늘 위에서 봐야만 진짜 의미를 알 수 있는 유적도 있거든요. 여러분을 도와주기 위해 수학의 눈으로 땅속을 탐험하는 고고학자 오현덕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을 모셨습니다!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부산 지역에 있는 한 관청의 노비 출신인 장영실은 세종을 만나 벼슬에 올랐다. 장영실은 별과 행성의 움직임을 관측해 하늘의 이치를 밝혔고, 이를 통해 시간을 재고 전달하는 시계도 완성했다. 조선의 하늘을 연 것이다. 과학적 발명 업적에 힘입어 장영실은 노비에서 기술총책임자격인 품계상 종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