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사체"(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송충이? 나는 매미나방 애벌레! (꿈틀거림 동영상 주의!!)기사 l20210526
- 솔나방 유충은 성충이 되기 위해서 소나무 잎을 먹기 시작하는데, 그 피해가 엄청나서 소나무가 죽거나 기찻길 위에 있던 송충이 사체로 인해 기차 바퀴가 미끄러질 정도여서 온 국민이 송충이를 잡았다고 합니다. 직접 나무 젓가락으로 한 마리씩 잡거나 잡은 송충이에게 약을 먹여서 다른 유충들과 나눠먹게 하는 방법으로 잡았다고 합니다. 이 ...
- 버드히어로 - 210518 - 2탐사기록 l20210518
- 교내 유리온실충돌흔적 1(멧비둘기) ,사체 1(뻐꾸기)총 2개체 발견했습니다. ...
- 버드히어로 - 210518 - 1탐사기록 l20210518
- 총 9개체 충돌기록입니다.사체 1개체 흔적 8개체로, 사체 1개체와 흔적1개체는 멧비둘기로 추정됩니다.예산발연휴먼시아아파트 북측 방음벽에서 7개체, 예산발연리슈빌아파트 서측 방음벽에서 2개체 발견했습니다. ...
- 버드히어로 - 210515 - 1탐사기록 l20210515
- 05.13원흥역 일대 방음벽 400m 조사 결과102개 충돌흔적 발견* 큰유리새, 멧비둘기 사체 및 깃털 발견 ...
- 흥미로운 산호, 아름다운 산호!기사 l20210220
- 유공충이나 조개, 게 새우, 등 여러 생물의 사체도 함께 쌓이지요. 그러고는 다시 거기에 산호가 자라서 죽거나 부서지고, 다른 생물의 사체도 쌓이고, 이것을 계속 반복을 해서 수만 년이나 되는 오랜 세월을 거쳐 산호초란 지형이 만들어지는 것이에요. 혹시 그럼 세상에서 가장 큰 산호초가 어디에 있는지 아세요? 세상에서 가장 ...
- 무화과 속은 시체로 가득하다?기사 l20210127
- 같이 좀벌들은 무화과 안에서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그래서...결론은 달콤하게 잘 익은 무화과 열매 속에는 기력을 다한 어미와 수컷 사체들로 가득하다는 것이죠. 아,물론 슈퍼마켓에서 파는 품종은 열매속 벌레가 없습니다. 저도 이 기사를 쓰면서 무조건 꽃이 없는 과일이라고만 생각했던 무화과에 대해서 더 잘 알게된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
- 순천만의 가창오리기사 l20201214
- 오염된 물과 유행병의 침투로 인해 30만 마리가 한꺼번에 죽었습니다. 그 당시, 다른 새들도 죽은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가창오리들의 사체를 검사해 본 결과 AI(조류독감)이라는게 밝혀졌습니다. 그래서 가창오리는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적색 자료목록에 수록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생태적 특성상 내륙의 호수나 늪(어려운 말로 호소)을 좋 ...
- 세상에서 가장 컸던 새기사 l20201118
- 몸 길이150cm, 날개길이는 700에서 750cm인 코끼리보다 거대한 새죠. 남아메리카에 서식했고 잡식이 아닌 육식이여서 주로 동물의 사체를 먹었다고 알려지는데요. 튼튼한 부리 덕에 두꺼운 피부도 쉽게 찢을 수 있었습니다. 이 동물의 화석은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름의 뜻도 '아르헨티나의 새'라는 뜻입니다. 연구 뒤 상당 ...
- YERIELFAM - 201031 - 2탐사기록 l20201031
- 곰개미 한마리가 길을 가다가 벌레 사체를 발견하고 끌고 가는 사진이예요. ...
- 굴혈포 해수욕장 채집기탐사기록 l20201025
- 굴혈포 해수욕장 모습입니다. 바위 쪽 조수 웅덩이에 생물들이 많았어요. 납작게(인가...)들입니다. 색상이 다양하네요. 주로 바위 틈이나 조개 껍데기 안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리고 소라게들 입니다. 들어가 있는 고둥&소라 패 ... 망둑과 마찬가지로 조수 웅덩이에서 발견되었어요. 그리고 고둥(역시 종류는 몰라요...)인데 소라게들보다 더 수가 적었어요. ...
이전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