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협력"(으)로 총 143건 검색되었습니다.
- UN 청소년환경총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51105
-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을 위한 지하수 사용권 거래 제도, 수도세 규제 촉진 및 지하수 사용 축소 및 오염 방지를 주제로 여러나라와 협력해 결의안을 냈다. 환경총회 덕분에 지구의 지하수의 위기 상태와 그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물은 정말 소중한 자원이여서 꾸준히 아끼고 관심을 보여야 할 거 같다. ... ...
- 물, 넌 누구니? 물의 현재 상태는 어떻고 물을 어떻게 아껴야 할까요?기사 l20151028
- 필요한 물질입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로선 물이 자꾸만 부족해지고 아껴야 하는 상황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럴 때일수록 국제적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고, 리더쉽과 헌신은 더욱더 필요합니다. 여러분도 이럴 때일수록 물을 아껴야 한다는 것은 당연히 아시겠죠? 어린이라고 학생이라고 발뺌하지 말고 어린이, 학생이 발벗고 나가서 물을 아껴서 다른 사람들 ...
- “삼성 크리에이티브 키즈/유스 멤버십” 창의 캠프 삼성전자 용인 연수원에서 4일간의 캠프기사 l20150818
- 재미와 흥미를 갖고 참여를 하게 된다. 2박 4일간의 캠프를 통해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 또래 집단의 중요성, 또래 집단 간의 협력, 소통 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다. 2박 4일 동안의 캠프 기간 동안 놀이를 통한 자유스러운 수업과 같은 팀원들과 함께 모든 행동을 했다는 것, 사물에 대한 관심(호기심)이 많을수록 창의력이 높아진다고 하 ...
- 하핫~ 저는 일본의 섬 대마도에 다녀왔습니당. KTX타고 3시간,배타고 1시간10분 걸려서탐사기록 l20150328
- 하핫~ 저는 일본의 섬 대마도에 다녀왔습니당. KTX타고 3시간,배타고 1시간10분 걸려서 대마도에 도착했다는......ㅠ.ㅠ 대마도는 일본 나가사키현으로 덕혀옹주비와 한국전망대, 조선통신사의 비 등을 통해 한국과 많은 역사를 함께하며. 나라를 빼앗겼을 때도 있고 양국이 함께 협력관계일 때도 많았다는 것을 알았답니다. ...
- 환경기념일에 대하여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 - 우리가 잘 모르는 환경기념일기사 l20150303
- "세계사막화방지의 날"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계 사막화방지의 날은 사막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사막화를 막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자원개발 방지와 자원절약, 나무심기 등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10. 7월 11일 : 세계 인구의 날(World Population D ...
- 우리나라 설날과 우즈베키스탄 나브루즈기사 l20150302
- *수말략(Sumalyak) 이라는 전통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수말략이란 ? 호밀의 싹을 틔워 오랫동안 불에 데워서 만드는데, 여성들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오랫동안 준비한다.*수말략을 먹는 이유는? 호밀은 생명, 풍요, 건강을 상징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 나부르즈의 상차림에는 7가지가 꼭 들어 간다. (주스-휴식,과자-기쁨,설탕-돈 ...
- 군집로봇은 주변로봇과 협력해서 싸우거나, 일하거나, 같이 놉니다. 이제부터 군집포스팅 l20150105
- 군집로봇은 주변로봇과 협력해서 싸우거나, 일하거나, 같이 놉니다. 이제부터 군집로봇에 대해서 알려 드리겟 습니다. 첫번 째 최초 군집 알고리듬의 세 가지 규칙 분리성,정렬성,응집성입니다. 앞으로 로봇에 대해서 쓰겟습니다. ...
- 제 8회 전국수리과학창의대회 참가했어요. 친구와 함께 명량 거북우주선을 만들었어요. 4탐사기록 l20141102
- 제 8회 전국수리과학창의대회 참가했어요. 친구와 함께 명량 거북우주선을 만들었어요. 4D 프레임으로 서로 협력하면서 만들어 낸 우주선이라 더 뿌듯해요~~ 내년에는 더 노력해서 꼭 상 타고싶어요!! ...
- 우리모두 생물다양성의 소중함을 느껴요 ‘2014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보고서기사 l20141022
- 저희 파충류팀 Raptilia에서는 국내 미발견 파충류의 생태를 파악하고 서식지가 광범위한 해양 파충류를 보존하기 위해 각국의 국제적 협력, 국내 파충류의 현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조사를 시행할 것, 국내 야생 파충류에 대한 인식을 위해 파충류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교육적, 문화적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개별 ...
- UN 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를 다녀와서 - 준비단계기사 l20141019
- 158개국 대표가 서명함으로써 채택되었고, 1993년 12월 29일부터 발효되었어요. 우리나라는 154번째 회원국이래요. 평창에서 청소년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는 9월20일 서울대학교에서 ‘생물다양성특강’을 듣고 오리엔테이션을 했어요. 9월27일 광릉 국립수목원에서 팀별자문교수님들께 개별 강의도 듣고 워크샵을 하는 ...
이전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