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어린이과학동아
"
후손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래의 생물 '개미귀신'에 대해서 아시나요?
기사
l
20171107
나와 모래 위로 올라옵니다. 약 20분 뒤에 날개를 활짝 펴고 서둘러 짝을 찾아 나섭니다. 성충들은 20~25일을 오직 짝짓기에만 몰입하여
후손
을 보고 굶어 죽습니다. 명주잠자리의 고향은 이처럼 강가 모래 바닥입니다. 명주잠자리는 몸길이 약 4센티미터로 수컷보다 암컷이 크고, 짧은 더듬이는 골프채를 닮아 끝이 뭉툭합니다. 체색은 어두운 갈색으로 ...
우리의 조상들의 치욕과 부끄러움을 돌아보며 교훈을 얻는 다크투어
기사
l
20171029
치욕적인 일들을 가지고 있는 장소와 조상의 부끄러움을 간직한 다크 투어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우리와 미래에 있을
후손
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외국의 예로는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이 폴란드에 지은 유대인 학살로 유명한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관광지로 만들어 선조들의 잘못을 깨닫게 해줍니다. 제가 어린이 과학동아 독자분 ...
지상 최강의 파충류 '바다악어'에 대해서 아시나요?
기사
l
20171021
(출처: Pixabay) 악어는 턱 힘이 가장 센 동물로 유명한데요, 악어는 쥐라기 초에 나타난 파충류 프로토수쿠스의
후손
으로 진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살아 있는 화석이라는 별명을 가진 파충류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악어는 크게 크로커다일과와 엘리게이터로 나뉘는데 이중에 바다악어는 크로커다일과에 속합니다. 크로커다 ...
친환경 에너지
기사
l
20170927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죠. 하지만 저는 자연을 위해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어느 정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후에
후손
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우리는 원자력 발전소를 아예 없앨 수는 없습니다. 아직 그러기에는 에너지가 너무 적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친환경 에너지를 더욱 더 개발하고 ...
역사 퀴즈+어과동 만화퀴즈
포스팅
l
20170824
1.이순신이 죽은 년도는2.세종대왕이 돌아가신 년도는3.단종의 본명은?4.솔이의 나이는5.요리스타 청은 몇년에 시작했을까요?6.문종의 재위기간은?7.청이와 한울이의 나이 차이는?8.크리비의 몸 색은?9.정조의 재위기간은?10.사월이 언니의 이름은?11.재상 정홍순이 태여난 연도는?12.숯장사 이석은 누구의
후손
??? ...
생물 다양성을 되찾기 위한 발걸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기사
l
20170805
멸종되었습니다. 사라진 생물의 모습을 보니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선조들에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후손
들에게서 잠시 빌려 쓰고 있는 것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멸종 위기에 있는 생물을 보존하고 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기 위해 생물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겠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는 4D영상관람 및 다양 ...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얼마나 심각할까?
기사
l
20170412
안녕하세요? 조서빈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지구온난화에 대해 쓰려고 하는데요, 지구온난화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출처: Pixabay) 지구온난화의 의미: 지구온난화란 지구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땅이 ... 쓰레기 줄이기 등입니다. 어머니들이나 선생님들이 하시는 지루한 말이라고요? 한번 실천해보세요. 건강과 환경 둘 다 좋아질 거예요 ...
가을에 피는 꽃, 납지리
탐사기록
l
20161026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외래종을 하천에 풀거나 놔준다면 외래어종들에게 밀려 토종 민물고기들이 사라질 것이고 어쩌면 우리의
후손
들은 납지리라는 물고기를 영영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외래종을 방류하는 것을 자제하고 보석 같은 아름다움을 가진 납지리를 우리 손으로 지켜야한다고 생각한다. ▲ 거의 12cm에 육박하던 납지리 수컷 ...
윤증고택 속에 숨은 과학이 쏙쏙!
기사
l
20160831
선생은 거절하였습니다. 대신 손님이나 외부 제자를 맞이할 때만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지금 기거하고 있는 사람은 윤증 선생의 13대
후손
입니다. 첫째로, 고택 속에 숨은 과학은 사랑채 창문에 있습니다. 사랑채 창문을 방 안에서 열면 황금 비율로 창틀이 황금비율로 이루어져 풍경이 더욱 돋보여 보입니다. 두 번째 비밀은 집을 드나드는 틈새입니다. ...
어린이기자단의 윤증 선생 고택 체험기
기사
l
20160831
돋보일 수 있었습니다. 이 윤증 고택에서는 많은 과학적 비밀과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윤증 선생 13대
후손
과 인터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Q. 언제 지어졌나요? A. 1709년도에 지어졌습니다. Q. 문이 왜 많나요? A. 밝기와 난방을 위해서입니다. Q. 살아가는데 불편한 점은 없나요? A. 방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