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뉴스
"
교배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이종
교배
비밀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권태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서로 다른 종으로 분화한 뒤 이종
교배
가 일어나기 어려운 이유를 밝혔다”고 말했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알 크기가 1mm 정도로 커 관찰이 쉬운 데다 체외 수정으로 한 번에 수백 개씩 수정란을 얻을 수 있어서 배아 발달 과정 연구에 널리 ... ...
싼타, 설향...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국산딸기,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8
외에도 정 박사가 직접 개발한 딸기 품종은 총 12가지다. 정 박사는 “싼타와 다른 계통을
교배
해 만든 베리스타 품종을 심은 농가에서 평소 수익의 세 배 이상 매출을 올렸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런 소식을 듣는 것이 가장 큰 보람”이라고 말했다. 정 박사는 “딸기는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 ...
[그것을 알려 줄개②] 늑대개는 개일까, 늑대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 히말라야늑대 (Canis lupus himalayaensis)는 거의 같은 동물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유사하고,
교배
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일부 독특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늑대개’라는 개를 키울 수 있는 거지요. 자라면서 늑대처럼 덩치가 커지고 (늑대는 몸무게가 45㎏이 넘습니다) 야생성이 남아있어 키우는 ... ...
“아마존 서식 ‘황금왕관 마나킨’은 교잡으로 탄생한 새 종”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세대를 거듭하며 번식이 불가능하다면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종 간
교배
가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이유다. 자연에서 교잡은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유전자가 합쳐지면서 새로운 돌연변이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식물에서 교잡종이 새로운 종으로 자리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있다. 전통 육종 기술은 최신 생명공학 기술이 접목되며 편리성을 얻었다. 이전엔
교배
를 마치고 나온 씨앗을 재배해 다 크고 나서야 개량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씨앗의 유전자를 분석해 재배 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개량 성공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강병철 서울대 ... ...
[뉴스 되짚어보기] 뒤바뀌는 인류 연표… ‘사피엔스’의 시대는 언제부터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7.10.18
*지난 여름, 과학 소식을 열심히 듣던 사람들은 한동안 어리둥절했습니다. 우리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태어난 시점이 바뀌었다는 뉴스가 ... 우리를 정의하는 유전적 구성도 조금씩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미 네안데르탈인과의 이종
교배
여부가 밝혀지면서 한 차례 크게 변한 것처럼요 ... ...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7.30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잘 발현되는 품종을 찾아, 현재 생산하고 있는 좋은 품종과
교배
해 곰팡이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225911 ... ...
지구온난화 속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 중 누가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9
각 위치별로 고유한 종으로 분화됐다가 약 500만 년 전 빙하기가 끝나갈 무렵 만나 서로
교배
의 기회를 얻었다. 그 결과 고립됐을 당시 각 종이 가졌던 특별한 신진대사 방법을 작동시키는 유전자를 잃고 하나가 된 바 있다. 리 교수는 “인간이 만드는 변화로 지금껏 고립된 자연 환경에서 ... ...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
2017.06.17
이러한 경향들은 인간 종 또한 개량될 수 있고 마지막에는 ‘우월한’ 사람들을 선택
교배
하여 완벽한 사람으로 만들거나 ‘열등한’ 사람들을 멸종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 관한 학문인 우생학으로 합쳐졌습니다…. 삼척동자도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 것입니다. 참혹했던 20세기였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여우들은 초기 기준에 따르면 대부분이 합격점을 줄 수 있을 정도다. 따라서 이 가운데
교배
할 개체를 선택하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탈락한 여우들은 농장으로 보내져 ‘죽어서 모피를 남길’ 운명이 되는 걸 뻔히 아는 투르트로서는 ‘소피의 선택’인 셈이다. 결국 투르트는 언제부터인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