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또
Kyoto
쿄토
쿄또
경도
뉴스
"
교토
"(으)로 총 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여부를 면밀히 살펴 6개월 후 오른쪽 뇌에 다시 한 번 신경세포를 주입할 계획이다.
교토
대는 2020년까지 50~69세 환자 7명에게 이식 수술을 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일본 제약사 다이닛폰스미토모제약과 손잡고 판매 승인 신청을 낼 계획도 갖고 있다. 다카하시 교수는 연구결과를 ... ...
고등과학원·카오스재단 ‘2018 노벨상 해설 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이끈 제임스 앨리슨(70) 미국 텍사스대 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本庶佑·76) 일본
교토
대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현재는 ‘이필리무밥’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등 다양한 면역관문억제제가 상용화 돼 의료 현장에 쓰이고 있다.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이용해 매우 작고 ... ...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거동이 불편해지면서 친척들이 있는 나가사키에서 생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28년
교토
남부의 후쿠치야마시에서 태어난 시모무라 교수는 군인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려서부터 나가사키에서 자랐다. 나가사키대에서 유기화학 및 생물의 발광 연구를 시작해 일본 나고야대에서 박사학위를 ... ...
2022년까지 91조…노벨상이 인정한 '면역항암제' 국내서도 R&D치열
2018.10.06
수상자인 제임스 앨리슨 미국 택사스대 MD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
대 명예교수은 각각 ‘CTLA-4’와 ‘PD-1’ 단백질을 발견했다. 최인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면역치료제 융합연구단 단장은 “‘CTLA-4’와 ‘PD-1’의 발견으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 항체가 ... ...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스위스 취리히공대 교수 또한 1998년
교토
상 첨단기술 부문 수상자로 뽑혔다.
교토
상 외에 대만의 ‘탕상(唐賞)’도 프리 노벨상으로 꼽힌다. 새뮤얼 인 대만 루엔텍스 회장이 2014년 제정한 이 상은 지속 가능한 개발, 생물·약학, 법률, 중문학(中文學) 등 4개 분야에 대해 2년에 한 번씩 시상한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21세기 면역학 키워드 '면역항암제' 노벨상까지 받다
2018.10.02
(좌) 제임스 P.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암센터 면역학과 교수, (우)혼조 다스쿠
교토
대 명에교수 무엇보다 anti-PD-1과 같은 면역항암제는 한 종류의 암에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암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CTLA-4와 PD-1과 같은 ‘면역관문' 기능을 떨어뜨려 ... ...
혼조 교수“'당신 덕분에'들었을 때가 행복…내 연구 지금부터가 시작”
과학동아
l
2018.10.02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행복 그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혼조 타스쿠
교토
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하고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노벨위원회 트위터. 혼조 교수는 “생물학은 복잡한 체계이며 공학과는 전혀 다르다”며 “연구 초기에는 면역연구가 암 치료법을 이끌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1979년 본국으로 돌아와 오사카대 의학부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1982년에는 모교인
교토
대 교수로 자리를 옮겨 일본의 대표적인 신진 연구자로서 암 치료를 위해 우리가 가진 면역체계를 이용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로서는 면역기능으로 암 치료를 한다는 생각은 아무도 하지 않던 시기였다. ... ...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 -"앨리슨 교수가 연구를 처음 시작하던 때, 일본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1992년 일본
교토
대 혼조 타스쿠 교수가 T세포의 표면에서 PD-1이란 단백질을 발견했다. 그는 처음에 이게 무엇을 하는 단백질인지 잘 몰랐다. 혼조 교수는 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혁신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7년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종류는 모두 이를 이용하고 있다. 혼조 교수는 이날 수상 발표 직후 7시 20 분쯤부터
교토
대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당신 덕분에 암 면역 요법이 등장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무엇보다 기쁘다"며 "게다가 상까지 받게 되어서 정말 행복하다"고 말했다. 2010년 악성흑색종을 대상으로 CTLA-4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