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번 이상 다시 쓰는 친환경 미세먼지 필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수 있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미세먼지 필터를 구성하는 섬유는 그 자체로
굵기
가 굵고, 기공의 크기가 커 PM2.5를 걸러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 대부분 일회용인 데다 주원료가 플라스틱 섬유라 또 다른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연구진이 개발한 BNNT 세라믹 ... ...
[출동!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2.16
걸지요. 또한 고양이가 새들을 잡아먹을 수도 있으니, 고양이가 올라가지 못하는 가는
굵기
의 나뭇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답니다. 너른 공터에 있는 나무를 골라야 새가 고양이를 쉽게 발견하고 도망갈 수 있지요.” 지사탐 대원들은 적당한 장소에 먹이통을 매달았어요. 이후 겨울새 탐사가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③] 남극의 온실
2018.01.31
뽐냈다. 무성하게 자란 그 식물의 정체는 바로 고추였다. 하얀 꽃 밑으로 새끼손가락
굵기
의 고추들이 대롱대롱 매달려 있었다. 그 중 한 개를 따서 베어 무니 금방 혀끝이 얼얼해졌다. 매운 맛이 제대로인 진짜 고추였다. 남극까지 와서 고추 맛을 보다니 왠지 감격스러웠다. 그런데 고추를 먹으면서 ... ...
미세먼지 농도 '나쁨', 올해 벌써 7번 WHO기준 초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자동차와 공장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화석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다. 머리카락
굵기
의 30분의 1 정도 크기인 초미세먼지는 인체에 더욱 깊숙이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호흡할 때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들어간 초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 원인이 된다. ... ...
한파 불러온 '제트기류 요동' 50년 전 급증...“인간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발레리 트로엣 교수가 그리스 올림푸스 산에서 발견한 오래된 소나무에서 연필심
굵기
의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 발레리 트로엣 제공 연구팀은 영국 및 북유럽(북위 50~60도), 이탈리아 등 남유럽(북위 35~45도)의 총 32개 지역에서 수백 년 된 스코틀랜드 소나무 등 5종 614그루의 나무 성장 기록 ... ...
[이달의사물] 수면 바지
과학동아
l
2018.01.08
가느다란 실로 만들었습니다.
굵기
가 머리카락의 약 100분의 1밖에 되지 않습니다. 양털의
굵기
가 머리카락의 4분의 1이니, 얼마나 얇은지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가느다란 실을 여러 개 모아 함께 꼰 다음 이것으로 천을 만든 것이 바로 극세사천입니다. 실과 실 사이의 아주 작은 공간마다 ... ...
거대한 뱀들에 둘러싸인 여자
팝뉴스
l
2017.11.24
제공 뱀이 최소 다섯 마리는 되는 것 같다. 크기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몸통
굵기
가 성인 남성의 몸통에 뒤지지 않을 것 같다. 뱀들을 둘러싸여 한 여성이 책을 본다. 편안하다. 아니 행복한 것 같다. 여성은 이불이나 담요를 덮듯이 뱀으로 몸을 덮었다.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주목을 받은 사진에 ... ...
누가 생각했을까? 친환경 수소 대량생산의 핵심 '스폰지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터널이 가득 찬 구조가 만들어졌다. 구멍과 터널의 외곽 구조물의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
의 수백 분의 1 수준인 100㎚(나노미터, 10억분의 1m)였다. 연구팀은 이 터널 구조가 전하를 전달하는 일종의 고속도로처럼 작용해 전극의 반응성을 높이고, 따라서 산소 발생 효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박테리아와 자석 입자로 나노 변신 로봇 개발... 고성능 약물 전달체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장티푸스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균 -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제공 길이가 머리카락
굵기
의 50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작지만, 혈액 안의 환경에 따라 추진 세기를 바꿀 수 있는 정교한 초소형 ‘나노 변신 로봇’이 한국인 로봇 공학자에 의해 개발됐다. 몸 속 구석구석에 약물을 실어 ... ...
줄기세포 싣고 몸속 손상 부위 찾아가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7.10.30
부위를 정확히 찾아간다. 줄기세포를 담고 있는 이 마이크로로봇의 크기는 머리카락 5개
굵기
정도인 270㎛ 정도다. 마이크로로봇에 실려 있던 줄기세포는 연골세포로 분화해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킨다. 전남대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 박종오 센터장 팀이 진행한 이 마이크로로봇 연구 결과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