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기심
신기함
뉴스
"
궁금증
"(으)로 총 550건 검색되었습니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
과학동아
l
2020.04.07
평면구조가 설계돼 있다.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는 사람은 렌즈에 적힌 작은 숫자에
궁금증
을 품은 적이 있을 것이다. 18~55mm, 24~70mm, 70~200mm 등으로 쓰여진 숫자들은 렌즈 고유의 초점거리다. 렌즈마다 초점을 맞춰 찍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 가장 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다르다는 뜻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출간된 해가 1789년이면 프랑스 대혁명의 폭풍을 라부아지에는 어떻게 맞이했을까 하는
궁금증
이 자연스레 생긴다. 수업시간에 나는 《화학원론》을 말하면서 1789년에 프랑스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학생들에게 물어본다. 요즘 학생들은 대개 교수들의 말에 별 반응을 하지 않아서 시큰둥한 경우가 ... ...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03.28
이번 호 팩트체크는 손 소독제로 정했습니다. “집에 있는 손 소독제를 쓰면서 문득
궁금증
이 생겼습니다. 손 소독제가 바이러스 예방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 건가요? 밖에서 손을 못 씻으면 휴대용 손 소독제도 바르는데, 소독제가 바이러스를 죽이는 건가요? 소독제에 들어있는 프로필렌글리콜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붙는데 돌이나 금속에는 왜 불이 잘 붙지 않을까? 연금술사가 아니라도 일상에서 누구나
궁금증
을 가질 만한 문제이다. 보일은 진공 상태에서 동물이 죽고 촛불도 꺼진다는 점에 착안해 호흡과 연소는 같은 반응일 것이라 생각했다. 보일의 첫번째 진공펌프. 위키피디아 제공 자비르는 황 ... ...
너구리를 사냥한 악어 ‘포착’
팝뉴스
l
2020.03.19
어떻게 악어가 잡았을까. 악어도 도시로 원정 사냥을 갔던 것일까. 해외 네티즌들의
궁금증
은 풀리지 않고 증폭될 뿐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에 200억 투자…"6개월 뒤 임상 개시"
연합뉴스
l
2020.03.12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악화하면서 투자 등의 계획을 지속할지에 대한
궁금증
이 일고 있다. 서 회장은 "현재 연구소와 공장을 설계하는 단계"라며 "프로젝트를 지연할지 그대로 지속할지는 가을께 상황이 정상화됐을 때 다시 볼 것"이라고 말했다. ... ...
아이들 앞에 나타난 악어
팝뉴스
l
2020.03.03
서식지를 벗어나 도시로 온 것인가. 해외 네티즌들을 놀라게 만들고 동시에 많은
궁금증
도 유발하는 사진이다. 어린 아이들 앞에 악어 한 마리가 나타나 있다. 사진을 보면 아이들을 걸어가는 동안 어디선가 악어가 나타나 점점 다가오는 것처럼 보인다. 아이들은 몹시 긴장했을 것이다. ... ...
'신종 코로나 얼마나 심각할까' NYT가 정리한 6가지
궁금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명이 늘며 모두 425명이 됐다. 뉴욕타임스는 이달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궁금증
6가지를 설명했다. 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진 전염성 바이러스의 전염성은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얼마나 쉽고 빠르게 전염되는지에 달려있다. 그 전염성에 대한 연구가 이제 막 ... ...
의사들도 헷갈리는 신종코로나의 5가지
궁금증
연합뉴스
l
2020.02.04
의사들도 헷갈리는 코로나바이러스의 5가지
궁금증
을 알아봤습니다. 첫 번째
궁금증
은 밀접 접촉과 일상 접촉의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메르스 사태 때는 2m 이내 접근한 사람이라는 기준으로 밀접 접촉과 일상 접촉을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역학 조사관의 재량에 맡기는 ... ...
[프리미엄리포트]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발전
과학동아
l
2020.02.01
전역을 휘감고 있었다. 이 시기 제주도는 이 정도 세기의 강한 바람이 늘 부는 것일까.
궁금증
을 품은 채 제주공항에서 차로 약 50분 떨어진 한경면 두모리로 향했다. 이곳에는 2017년 9월 국내 최초로 바다 위에 3MW(메가와트·1MW는 1000kW)급 풍력발전기 10기를 세워 전기를 생산하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