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뉴스
"
돌
"(으)로 총 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태양탐사선 파커, 금성 지표면 가시광선으로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점진적으로 태양에 근접하기 위해 태양과 금성 주변을 크게 선회하고 있다. 금성 주변을
돌
때마다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태양에 더 가까이 다가간다. 파커호는 2024년 12월 태양에 최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커호는 지난해 2월 4회차 금성 접근을 진행했다. 이때 연구진은 광시야카메라를 ... ...
침팬지 벌레 잡아 다친 상처에 바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수 있도록 견과류를 깨서
돌
위에 올려놓거나 훨씬 깨기 쉬운 견과류를 두기도 했으나
돌
로 껍데기를 깨는 행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쿱스 교수는 "침팬지는 인간처럼 행동을 습득하고 복잡한 도구 사용을 단순 발명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며 "문화를 누적하는 인간의 능력이 침팬지와 진화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는 감기가 될까
2022.02.08
지나면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거리두기를 해제하고 있다(왼쪽). 앞으로 새로운 변이가
돌
더라도 유럽에서는 점차 감기화(중노년층은 독감화)돼 일상을 유지해도 희생자가 점점 줄어들겠지만, 코로나 제로 정책을 고집하는 중국에서는 여전히 코로나19로 남아 거리두기의 고통을 감수해야 할 ... ...
목적지 안착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첫 관측할 천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수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리안 5호 로켓 안정적으로 목적지까지 궤도에 진입시키면서
돌
발 사고만 없다면 10년 넘게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 ...
돌
옆에 놓고도 야자 열매 못 까먹는 침팬지
연합뉴스
l
2022.01.25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약 6㎞ 떨어진 곳에 서식하는 보소우(Bossou) 침팬지들이
돌
을 이용해 야자 열매를 까서 먹는 것과는 사뭇 다른 것으로 지적됐다. 쿱스 박사는 "이는 침팬지가 인간처럼 (집단 내에서) 문화적 행동을 습득하고 혼자서 열매 껍데기 깨기 등과 같은 복잡한 도구 이용 ... ...
우주를 보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최종 목적지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배치도. 실제 거리를 그림에 반영하지는 않았다. NASA 제공. 고도 537~541km의 지구저궤도를
돌
며 가시광선,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허블우주망원경과는 달리 이보다 훨씬 먼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 설치돼 적외선 대역 관측도 가능해 우주의 더 깊숙한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우주 ... ...
[지구는 살아있다]북아메리카가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
2022.01.15
간빙기를 만드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지구는 수만 년 후 빙하기로
돌
아가게 될까요? 현재 지구는 인류의 활동으로 더워지고 있어요. 이렇게 급속한 기후 변화는 지구가 한 번도 겪어본 적 없는 일입니다.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기후는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변할지도 ... ...
우주 기원 찾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25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지구에서 540km 떨어진 우주궤도를
돌
고 있다. 그간 몇 차례 고장이 났지만 지구에서 가까워 수리가 가능했다. 반면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그보다 훨씬 먼 위치에 있어 고장이 나도 수리가 어렵다. 발사에서부터 라그랑주 L2 지점까지 안착해 모든 장비의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9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전자의 ‘무거운 형제’같은 입자로 고에너지 양성자 입자를 총
돌
시킬 때 만들어지는 뮤온 입자에 대한 새로운 측정법과 환각제를 이용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치료, 화성의 지진 관측, 감염병 치료에 필요한 단일클론항체 개발, 핵융합에너지의 발전이 혁신 성과 후보에 ... ...
코로나 변이 등장과 한층 심각해진 기후변화 위험…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확인했다고 4월 밝혔다. 전자의 ‘무거운 형제’같은 입자로 고에너지 양성자 입자를 총
돌
시킬 때 만들어지는 뮤온 입자가 표준모형의 예측보다 더 자성을 띠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만약 이 불일치가 이어지면 50년 전 개발된 표준모형이 관측을 설명하지 못하는 처음 사례가 된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