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미
종단
맨 끝
종료점
끝
말기
종점
뉴스
"
말단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 극한환경 생존 원리 밝힌 이철주 연구원 ‘이달의 KIST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수명을 결정짓는 분해에도 관여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발견했다. 질량분석 기반 ‘N-
말단
단백체 분석법’을 활용한 결과다. KIST 측은 “이 연구원은 그동안 아주 짧은 순간 미량으로 존재해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던 포밀메틸오닌에 따른 생명현상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동 연구는 극한 ... ...
불임 유발 ‘자궁내막증’ 원인 알고보니 ‘후성유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학문이다. 대표적인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전으로는 히스톤 단백질
말단
에서 일어나는 아세틸화, 메틸화, 인산화 등이 있다. 연구팀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DAC3)’이 유전자의 구조를 조절해 특정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후성유전학 조절을 통해 자궁내막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여행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낙하산은 천(막)인 반면 갓털은 씨앗 한쪽에서 나온 털
말단
에 미세한 털(filament) 100여 개가 뻗쳐있는 구조다. 필라멘트의 길이는 평균 7.4㎜이지만 지름은 평균 16.3㎛(마이크로미터. 1㎛는 1000분의 1㎜)로 머리카락 지름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위에서 갓털을 ... ...
화성 분지 주변서 고대 호수 흔적 무더기 발견
2018.11.02
나가는 관통(through-flowing)형 호수이거나
말단
(terminal) 호수였다"라고 밝혔다.
말단
호수 한 곳은 부드러운 침전물로 거의 가득 채워져 있어 파타고니아 안데스산맥의 소금 호수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슷한 형태를 보였다. 이런 유사성은 고대 호수가 있을 당시 화성의 기후 조건이 안데스 고원지대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계속 빼앗겨 위기라고 판단하면 생존에 직결된 몸통으로 혈액을 집중하고 손과 발 같은
말단
의 혈관은 수축시키기 때문에 손과 발이 먼저 동상에 걸린다. 마찬가지로 미량영양소가 부족해지면 우리 몸은 당장 생존에 필요한 쪽에 우선 제공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는 공급이 끊기게 돼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이 빛과 반응해 결정된다. SCN은 시신경이 교차해 뇌로 들어가는 길목인 뇌 중심부 앞쪽
말단
에 위치한다. 사람과 쥐의 SCN은 뇌 크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약 2만 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갑자기 낮과 밤의 패턴이 뒤바뀐 경우처럼 생체리듬이 바뀔 때 우리 몸에선 ... ...
부작용 걱정 없는 유전자가위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그 방법을 찾지 못했다. KIST 연구진은 ‘Cas9’ 단백질의 가장 끝에 붙어있는 ‘C’
말단
부위(c-terminus)를, 음(-) 전하를 띈 sgRNA와 자가조립이 가능하도록 양(+) 전하로 구성하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동시에 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게 설계, 동물실험을 통해 실제로 폐암치료 효과가 있음을 ... ...
200년만에 환생한 프랑켄슈타인...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과학동아
l
2018.07.30
전자피부 엄지와 검지에 뾰족한 물체를 잡은 것과 유사한 압력이 느껴지면 정중신경
말단
을 10~20Hz의 진동수로 자극했다. 루크 오스본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원은 “현재 개발된 인공 보철물에는 통증을 느끼는 기능이 없다”며 “통증은 불쾌하지만 몸의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감각”이라고 ... ...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07.17
폴리프롤린Ⅱ형 나선 등 두 가지 패턴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나선형
말단
은 용액 형태의 단백질을 신속하게 굳히고 거미줄의 인장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동안은 단백질이 너무 빨리 고화돼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했다. 옥타비아니 연구원은 “핵자기 공명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범위와 통증으로 느끼는 범위를 알아냈다. 예를 들어 팔죽지 앞쪽 정중신경(median nerve)
말단
이 진동수 10~20헤르츠, 펄스폭 20밀리초로 자극받을 경우 환상 엄지와 검지에서 ‘불편하지만 견딜만한’ 통증이 느껴진다. 의수 시스템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식이다. 손가락이 물체를 집으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