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온으로 센서 구동한다...에너지 하베스터 3D프린팅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잉크 쓰기(DIW)’ 기술로, 수직 방향으로 열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단열구조체가 담긴 초
박막
신축 열전소자를 개발했다. 삼차원 구조체에 프린팅하면서 열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소자다. 연구팀은 열전소자 내 온도 차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낮고 유연성과 신축성이 큰 실리콘계 ... ...
6시간 세탁해도 끄떡없는 플렉시블 OLED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연구팀은 수분에 의해 맥신의 전기적 특성 열화 메커니즘을 분석했고 인캡슐레이션
박막
을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렉시블 OLED는 햇빛이 비치는 실외 조건에서도 인식이 가능한 밝기를 구현했다. 6시간 동안 물 안에 있어도 성능이 유지됐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맥신 ... ...
[표지로 읽는 과학] 종이처럼 얇고 고무처럼 구부러지는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3.05.27
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에 불과하면서도 광전 변환 효율(발전효율)이 우수한 ‘초
박막
플렉시블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태양전지는 가벼우면서도 충격에 강해 곡면 구조를 가진 구조물 등에 점차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 결과는 24일(현지시간) ... ...
[인사] 한국화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5.22
채호정 △화학공정연구본부 탄소중립화학공정실증센터장 한중진 △화학소재연구본부
박막
재료연구센터장 명성 △화학소재연구본부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김윤호 △의약바이오연구본부 희귀질환치료기술연구센터장 조희영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신약정보기술연구센터장 안선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소자 내 과열 해결방법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연구팀은 반경이 약 3cm인 100나노미터 두께의 티타늄
박막
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에 의해 열전도도가 약 25% 증가함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 ...
고집적 반도체 혁신 기술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신현석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신 교수 연구팀은 또 같은 질화붕소 소재인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이용해
박막
의 층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단결정 hBN 합성법을 개발해 반도체 소재를 대면적화할 수 있는 해법도 제시했다. 이 연구도 2022년 6월 네이처에 게재됐다. 신현석 교수는 “초저유전물질 원천소재 개발은 반도체 칩 ... ...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일본 제치고 세계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태양전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했다. 텐덤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나
박막
형 태양전지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얹은 것으로 최고 효율이 30%를 넘는다. 개발한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활용해 텐덤 테양전지를 만들면 더 큰 효율을 낼 수 있다는 예상이다.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코로나19 기간 수질오염 민원 줄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24일 게재됐다.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의 백 분의 일 두께인 초고감도 무기물 압전
박막
을 딱딱한 기판에서 고온 열처리 후 유연 기판에 전사했다. 이를 통해 혈압 센서를 제작했으며 피부에 밀착해 혈관의 미세한 맥박 파형에서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혈압 ... ...
감염병 바이러스 10분 내 현장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기능을 구현했다. 또 연구팀은 플라스틱 미세 유체 칩과 알루미늄
박막
을 결합해 `금속
박막
카트리지'를 개발해 값비싼 나노소재의 재사용률을 높이고 비용 효율을 극대화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라즈모닉 핵산 분석 시스템'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10분 이내 95% 이상의 높은 정확도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챗GPT에 쓰인 기술로 다공성 소재 물성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씨티셀즈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초
박막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유체 교환은 용이하되 세포 손실은 막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세포 염색 기술보다 높은 세포 보존율과 재현성을 확보했다. 희소 세포를 손실 없이 분석할 수 있어 향후 임상 연구에서 활용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