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톱
발굽
굽뒤축
뒤축
굽
네일
머리털
뉴스
"
발톱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때려 눕힌 거대 공룡이 사실은 수영 선수?
2014.09.15
뒷다리뼈의 구조도 특이하다. 마치 펭귄의 뼈처럼 뼈 속 빈 공간(골수강)이 없고
발톱
도 납작한데, 이런 특징도 헤엄치기에 유리하다. 이밖에 목과 꼬리가 유난히 긴 점도 수영 선수로는 좋은 체형이며, 코가 유난히 아래쪽에 위치한 점도 수중 생활에 도움을 준다. 반면 연구팀은 논문에서 ... ...
[채널A] ‘가시 공격’ 내향성
발톱
급증…예방법은?
채널A
l
2014.07.22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발톱
의 양옆 모서리가 살에 닿지 않도록
발톱
을 1mm 정도 여유 있게 잘라야 합니다. 또 자신의 발보다 5mm 정도 큰 신발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721/65357802/2 ... ...
파란 장미-미니 무궁화-시들지 않는 카네이션… "꽃보다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2
있는 피튜니아의 청색 유전자도 함께 주입되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야생화인 매
발톱
꽃의 청색 유전자를 주입해 파란 장미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대기오염에 강한 꽃을 만들 수도 있다. 도로변의 피튜니아에 환경 스트레스를 막는 두 유전자(SOD2, NDPK2 ... ...
식물에 있는 '쓰레기 DNA'가 알고보니 '보배'
과학동아
l
2014.04.06
기능을 지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진화적으로 거리가 먼 애기장대와 매
발톱
꽃의 유전체를 비교한 결과, 서로 공유하는 비유전자 DNA 서열을 211개나 발견했다. 두 식물은 1억3500만 년 전에 공통 조상에서 나눠진 것으로 알려졌는데, 유전자가 아닌 DNA가 이처럼 많이 보존되고 있다는 ... ...
육식공룡이 채식? 통념 뒤집는 공룡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대부분이 육식공룡인 수각류에 해당되고, ‘무시무시한 손’이라는 뜻의 학명처럼
발톱
이 커 육식공룡일 것이라 추정돼 왔을 뿐이다. 이 같은 추측은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이 2006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몽골 고비사막에서 데이노케이루스의 나머지 골격을 발굴하면서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놓치지 않고 참매가 재빨리 튀어 올라 꿩을 뒤따라가 낚아채 떨어뜨려서는 날카로운
발톱
으로 제압하는 모습이다. 이런 매사냥의 모습은 참매의 사냥 습성을 잘 파악하고 이용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연출해 낸 장면이다. 그렇지만 실제 야생 참매는 무엇인가에 놀라 날아오르지 않는 한, 습성상 ... ...
주둥이가 부리로 바뀐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코 주위가 케라틴질로 덮여있었다. 케라틴은 새의 부리는 물론 사람의 손톱이나
발톱
을 구성하는 단단한 단백질이다. 연구팀이 모델링한 테리지노사우르스. 주둥이의 일부가 단단한 케라틴으로 덮혀, 부리와 입의 중간 형태인 것을 볼 수 있다. - PNAS 제공 연구팀은 고해상도 CT촬영과 ... ...
50년 간 미스터리 '데이노케이루스'는 초식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데이노케이루스는 1965년 당시 앞발과 어깨뼈만 발견됐다. 앞발 길이가 2m였으며
발톱
이 굉장히 날카로워 육식공룡으로 추측됐다. 많은 과학자들이 이 공룡이 정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지만 50년 가까이 실체에 접근하지 못했다. 이융남 박사는 1999년 경기도 화성 시화호 인근에서 ... ...
5억 2000만 년 전 바다 전갈의 신경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런던 자연사 박물관 공동연구팀이 찾은 고생물의 정체는 그리스어로 ‘커다란
발톱
’이라는 뜻의 메가체이란(megacheirans).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멸종한 해양 절지동물의 한 종류다. 연구팀은 3cm 크기의 온전한 메가체이란 화석을 발견하고, 신경계의 모습을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밝게 표시된 ... ...
수백만 년 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16
의학의 발달로 팔다리와 장기를 마음대로 뗐다 붙일 수 있는 인류도 있다. 날카로운
발톱
과 강한 근육으로 나무를 타거나 두 가지로 진화한 인류가 서로 붙어 다니면서 공존하는 인류도 있다. 그가 상상한 미래 인류의 모습은 신기하고 재미있는 것도 있지만 엽기적이고 징그럽기도 하다. 불과 200년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