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뉴스
"
보존과학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②풀어드립니다…전력반도체·프리폼 디스플레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로봇팔이 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모습. PhonlamaiPhot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기상 재해 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습니다. 우주개발, ... ...
판다 '푸바오', 왜 중국으로 돌아갈까…동물 외교의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23.08.26
경남 창녕군 우포늪 따오기복원센터. 과학동아 제공 ‘따아아옥’ 국내 1호 아기 판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돌아갈지 모른다는 소식에 전국이 들썩이던 5월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 있는 따오기복원센터를 찾았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완전히 멸종됐던 따오기 수십 마리가 묵직한 울음소리로 ... ...
[과기원NOW] KAIST, 가상현실 구현하는 나노소재 광학 패터닝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17
나노소재 조성을 변화시켜 제작한 다양한 패턴. KAIST 제공 ■ KAIST는 조힘찬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발광성 나노소재의 높은 발광 효율을 유지하며 초고해상도 패턴을 제작하는 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양자점과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이 가지는 강한 광촉매 특성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주 생태계 지키려면 원주민 지식 동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8.13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이번 주 표지에는 호주의 숲을 배경으로 한 사진이 실렸다. 푸른 나무로 가득한 숲 이곳저곳에는 불씨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상공에는 헬리콥터 한 대가 날고 있다. 소이탄(가연성 물질을 쏘는 포탄)을 공중에서 떨어뜨려 불을 내는 모습이다. 호주 ... ...
똥화석에 담긴 2억년전 동물세계…"공룡도 여러 기생충에 감염"
연합뉴스
l
2023.08.10
연합뉴스 제공 2억년 전 트라이아스기에 살던 공룡 같은 고대 포식자도 선충 같은 다양한 기생충에 감염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파충류 똥화석(coprolites·糞石)이 태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태국 마하사라캄대학 타닛 논스리라흐 교수팀은 10일 과학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 동물 똥화석에서 2억 ... ...
화성에도 건기·우기 있었다…"생명체 존재 가능성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8.10
NASA의 화성탐사로보 큐리오시티가 육각형 모양의 진흙 균열을 발견했다. 네이처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가 화성의 계절 변화 흔적을 포착했다. 과학자들은 이 흔적이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던 증거일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프랑스 천체물리학 및 행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파지요법을 중심으로 파지 연구의 역사와 전망을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는 책 ‘착한 바이러스’가 최근 출간됐다. 교보문고 제공 7월 하순 장마가 끝나고 시작된 무더위의 기세가 대단하다. 이러다 보니 되도록 외부 활동을 피하고 남는 시간은 집이나 동네 카페에서 책을 보며 지내고 있다. 아무 ... ...
"2억5천만년 전 고래처럼 먹이 걸러 잡아먹는 파충류 살았다"
연합뉴스
l
2023.08.08
연합뉴스 제공 2억5천만년 전 트라이아스기에 현대의 고래처럼 많은 양의 물을 빨아들이면서 새우 같은 작은 먹이를 걸러내 잡아먹는 '여과섭식'(filter feeding)을 하는 해양 파충류가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우한 지질연구센터 청룽 박사와 영국 브리스톨대 마이클 벤턴 교수팀은 8일 과 ... ...
돌연사 원인 1위 ‘심근경색’ 새 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6
정윤기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왼쪽)과 이주로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 KIST 제공. 국내 성인 돌연사 원인 1위는 ‘심근경색’이다. 심근경색 환자의 30%는 병원 도착 전 사망하고, 병원 치료를 시작한 뒤에도 5~10%는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 ... ...
멸종위기종 지정 실험용 원숭이…과학계 "연구 차질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3
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게잡이원숭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 연구와 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게잡이원숭이를 멸종위기종 지정 목록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과학계 주장이 제기됐다. 2일 과학계에 따르면 미국생물의학연구협회(NABR)는 지난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게잡이원숭이를 멸종 위기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