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입자
농도
뉴스
"
분자농도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포도당을 연료로 생체 내에서 움직이는 ‘나노모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왼쪽부터 니티 쿠마리 포스텍 연구조교수와 권태완 연구원, 이인수 교수. 포스텍 제공. 생물체 내 대사작용에 의한 자율 운동은 분자, 단백질, 세포기관 등에서 핵심적인 신호요소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는 자율 운동으로 농도가 더 높은 포도당을 향해 이동한다. 포스텍은 이인수 화학과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2014년 흑색종 치료제로 FDA가 승인한 키트루다는 그뒤 폐암 치료제로 적용이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면역항암제 시대를 연 항체치료제다. 국내에서는 2017년 사용이 승인됐지만 아직 폐암 1차 치료에서는 건보 적용이 안 되고 있다. 머크 샤프 앤 돔 제공 지난해 신문에 실린 한 기고문을 읽고 의료 현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네이처 제공 식물은 뿌리에서 물을 흡수한 뒤 잎으로 올려보낸다. 중력을 거슬러 물을 올려보내는 작업은 힘들어도 식물에게는 생존이 걸린 일이다. 잎에서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식물은 두 가지 방법을 쓴다. 하나는 잎의 기공을 통해 물을 계속 증발시켜 물 ... ...
코로나19 감염 90분만에 진단하는 마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착용하고 호흡하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마스크가 개발됐다. 하버드대 위스연구소 제공 미국 과학자들이 일반 마스크처럼 얼굴에 쓰고 숨을 쉬면 1시간30분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알려주는 진단 마스크를 개발했다. 제임스 콜린스 미국 ... ...
[주말N수학]수학으로 살펴본 일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동아
l
2021.06.26
후쿠시마 제1 원전의 탱크에 저장된 방사능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모습. 일본대사관 제공 지난 4월 13일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방사성 물질은 불안정한 핵이 안정해지기 위해 높은 에너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질병관리청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 홍보포스터 방역은 ‘과학적’이라야 한다. 너무 당연한 주장이다. 특히 코로나19 방역을 전담하고 있는 질병관리청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런데 현실은 만만치 않다. 도대체 무엇이 ‘과학적’인지가 분명치 않다. 실제로 질병관리청의 방역 지침이 모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폐렴 등 여러 이유로 폐활량이 크게 떨어져 자발적 호흡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는 환자들이 인공호흡기 덕분에 목숨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으로 환자가 급증하면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회복 뒤 폐 기능 저하 등 여러 부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과학적 사실
2021.04.28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관련 긴급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이 달라지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지난 19일 국회 대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이런 연구가 어떻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지난해 마지막 호에서 ‘2020년 10대 과학성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목록을 보다가 고개를 갸우뚱했다. 1년 동안 나온 수많은 연구결과 가운데 뽑힌 열 개에 포함되기에는 너무 평범해 보이는 게 하나 있어서다.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CRP) ... ...
뇌의 별 모양 세포, 새로운 '수면 조절' 기능 발견
연합뉴스
l
2021.03.24
성상교세포 활성화→뇌 주파수 낮춰 수면 유도 Gi·Gq 수용체, 수면의 양과 질 제어…저널 'eLife' 논문 [뉴욕 줄기세포 재단 연구소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인간은 삶의 3분의 1을 잠자는 데 할애하면서도 수면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잘 모른다. 예를 들면 어떤 이는 수면을 방해하는 환경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