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부품 고장 '광개토대왕함', 3D프린팅 기술로 하루만에 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국내 최초로 개발한 기술로 기존 용접 수리 방식의 단점을 해결했다. 레이저
빔
을 정밀하게 제어하며 형상을 복원해 부품의 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수석연구원은 “용접 수리 방식을 적용하면 부품에 열이 과도하게 축적돼 형상이 뒤틀릴 수 있다”며 “특히 이번에 손상을 입은 구축함 ... ...
뇌에
빔
프로젝터 쏴 만든 뇌 연결지도..."뇌 구조·기능 심층연구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대뇌 피질 전반에 직접 빛을 쏴 효과적으로 광유전학 자극이 가능하도록 했다.
빔
프로젝터를 통한 광 자극은 기존의 단순한 점 형태가 아니라 뇌 표면에 영화를 상영하듯 빛을 쏘는 방식이다. 원하는 뇌 영역에 원하는 패턴을 자유자재로 생성할 수 있다. 한 번의 실험으로 하나의 고정된 영역이 ... ...
양자컴퓨터 큐비트 던지고 받아 배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원자를 이동해 배치하는 기술은 중요하다. 배치는 보통 광집게라 불리는 레이저
빔
을 사용한다. 원자를 하나씩 잡아 운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때 원자의 양자정보가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팀은 광 집게가 원자와 접촉하는 시간을 최소화해 양자 정보가 변하지 않도록 원자를 던지고 받는 ... ...
한국전기연구원, 가톨릭대와 방사선 암 치료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및 마그네트론’ 관련 기술을 다수 확보했다. 이 기술은 진공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자
빔
의 전기 에너지를 고출력 전자기파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자기파 에너지로 고에너지 방사선을 방사해 암을 치료한다.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방사선 암치료기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실현한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인체 내 암종양에 이끌려 부착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혈류를 통해 주입된 뒤 전자
빔
을 조사하면 분자 수준에서 감지되는 빛을 발하는 방식이다. 암종양을 표시하는 일종의 탐침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또 의료진으로 하여금 암종양이 발하는 빛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화 과정에서 ... ...
국내 최초 5세대 방사선 암 치료기 도입…"치료기간 단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사용되는 ‘콘
빔
컴퓨터단층촬영(CBCT)’기술보다 한 단계 나아간 ‘팬
빔
컴퓨터단층촬영(Fan-beam CT)’ 기술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저선량으로 고해상도의 영상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해 보다 선명하며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영상을 제공한다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4분의 1 크기인 KSTAR 주장치실은 주장치와 헬륨 분배장치, 전자공명가열장치, 중성입자
빔
가열장치 등이 설치돼 있다. 핵융합 핵심조건인 1억도의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을 실제 실험하는 곳이다. 윤 본부장은 최근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을 언급하며 “지진 등으로 초고온, 고진공, 고자기장 등의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가 학생들과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있다. KAIST 제공 집속 이온
빔
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분의 1만큼 작은 픽셀로 초고해상 ... 응용될 기반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광다이오드(LED) 소자 위에서 집속 이온
빔
조사로 픽셀을 만들고 있다. KAIST ... ...
석상일 UNIST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음이온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의 결정화 과정을 포항가속기연구소의 ‘UNIST-PAL’
빔
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그 원리를 밝히고 정리한 매우 뜻깊은 연구”라며 “향후 다양한 조성을 가진 결정성이 높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제조에도 확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석상일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리스크평가연구부장 김동산 △가속기개발연구부장 권혁중 △입자
빔
이용연구부장 박준규 △양자광학연구부장 박현민 △SMART원자로기술개발부장 유승엽 △다목적소형연구로사업관리부장 유제용 △다목적소형연구로기술관리부장 김수형 △다목적소형연구로계통개발부장 정종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