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통상
무역
사업
교역
거래
고등학교
뉴스
"
상업
"(으)로 총 1,0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포름산'으로 전환…경제성·환경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확인할 수 있었다”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직접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CCU 기술의
상업
화를 앞당겨 2030년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
미국서 소가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 첫 사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상태에서 분석한 결과 우유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현재
상업
용 우유는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며 소비자 건강에 위험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감염된 젖소의 우유가 공급되지 않도록 폐기되고 있으며 저온살균을 할 경우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제거할 ... ...
"달 특정 지역 보호하라" 목소리 높이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최소 22건의 달 탐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중 절반은 달 남극 근처로 향한다. 이후에도
상업
용 및 민간 착륙선을 포함해 더 많은 달 착륙이 예정돼 있다. 미국, 중국, 러시아 등은 달 기지도 만들어 2030년대에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천문학자들이 특별히 보호해야 할 지역으로 꼽은 곳은 달의 ... ...
유전자변형생물체 반입 2년 연속 감소…대부분은 '사료용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건수는 204건으로 대부분 해외 연구기관에 연구용으로 반출됐다. 연구팀은 "국내에서
상업
적인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는 한 건도 없다"며 "유전자 변형 들잔디가 유일하게 재배를 목적으로 심사된 적이 있지만 지난해 6월 최종적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 ...
"국내 첫 민간 SAR위성 성공했지만…역량 잇기 어려운 게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7
프로그램,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개발(R&D) 사업을 적극 운영해야 합니다. 산업체의
상업
적 가치 창출이 가능한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현장의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지원책을 우주항공청이 부디 잘 취합해주길 바랍니다." 지난해 12월 제주도 남쪽 해상에선 100% 우리 기술로 개발된 상용 ... ...
3월 대한민국엔지니어상에 이덕수·이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변환된 대용량의 직류전원을 다수의 직류부하에 그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도심 지역의
상업
용 빌딩에 적용하면 교류전원 공급 방식 대비 연간 10% 이상의 에너지 및 약 38톤(t)의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할 수 있다. 이 책임연구원은 “오랜 시간 동안 중전기기 제조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맛과 향이 뛰어남에도 수확량이 너무 적어 한 그루에서 원두 320g을 얻는 게 고작이라
상업
작물이 되지 못했다. 오늘날 원두의 60%를 공급하는 아라비카는 생육 최적 온도가 18~22℃이다. 나머지를 차지하는 로부스타는 24~26℃로 더위에 좀 더 강하고 병해충 저항성도 높다. 지구온난화로 아라비카를 ... ...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첫 우주
상업
발사 계약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제공 발사체 스타트업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가 첫 우주
상업
발사 계약을 맺었다. 페리지는 내년 소형 인공위성용 우주발사체 '블루웨일1'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준궤도 시험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는 달로 ... ...
원전 안전 관리시스템 재편…연중 상시검사 도입·연구용 원자로 규정 합리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확대된다. 연구용원자로 및 핵연료가공시설에 대해서는 안전성 측면에서 과도하게
상업
용 원전과 동일한 규정을 적용하는 부분을 개선한다. 국가 주도로 개발 중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관련해선 먼저 안전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하는 등 규제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 ...
북극곰 이어 펭귄까지…조류독감으로 펭귄 첫 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고 말했다. 펭귄들은 기후 변화, 환경 오염,
상업
적 어업 등으로 위협에 직면한 상태지만 조류독감 감염으로부터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여겨졌다. 지난해 가을 H5N1이 남극에 도달하기 전까지 남극에서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보고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