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델타 뛰어 넘는 최강 변이 아직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전망했다. 과학자들이 뮤 변이에 주목한 이유는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체내
숙주
세포에 침투하기에 유리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돌연변이는 백신을 접종했거나 코로나19에서 완치되면서 획득한 항체에 내성을 가지게 할 수 있어 우려를 샀다. 하지만 이탈리아 연구진은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축적된 기초연구 지식이 '질병 X'를 막는다
2021.09.08
높아지면서 동물에서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새로운 감염
숙주
(인류)에 잘 적응하여 생명력을 이어가지만, 또 다른 일부는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가까운 미래에 인류를 위협할 수 있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경고하는 것만 10종 이상이다. 이들 중 ... ...
[과학게시판] 안전성평가硏, 제초제 성분 어류 농축 여부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어류 내 대사작용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메티오졸린은 잔디병 유발의
숙주
역할을 하는 새포아풀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제에 효과적인 물질로 꼽힌다. 연구팀은 메티오졸린이 어류에 노출되면 매우 빠르게 축적되지만, 이틀이 지나면 어류 내 축적 농도가 일정하게 ... ...
미 정보당국도 코로나19 기원 결론 못 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자체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조작해 만들었다는 증거가 없다"며 "코로나19가 여러 동물
숙주
를 거치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콜린스 원장은 "우한바이러스연구소 과학자들이 동물을 비밀리에 연구하다가 유출시켰을 가능성이 있다"며 "코로나19가 세계 대유행으로 번지기 전인 2019년 1 ... ...
[영상+]뇌세포에 침투해 난동 부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인간 세포에도 작동하는 방식은 동일하다”며 “다만 인간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가 면역체계에 경고를 보내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한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박쥐와 다르게 인간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더 많은 세포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 ...
람다 변이는 '제2의 델타 변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연구에 따르면 람다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발생한 돌연변이(L452R/Q)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더 잘 들러붙게 만들고 이를 통해 감염력을 높인다. 또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과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 얀센의 백신 등 코로나19 백신 3종으로 생성된 항체에 대한 람다 변이의 영향을 조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단백질 껍질 바깥쪽을 '외투'라고 부르는 지질막이 싸고 있는 구조로 지질막 성분은
숙주
세포막에서 가져온다. 따라서 VLP 유형의 백신을 만들려면 항원이 되는 유전자와 함께 캡시드 단백질 유전자도 집어넣어야 한다. 그러면 속이 빈 껍질 표면에 항원 단백질이 박혀있는 VLP가 만들어진다. 물론 ... ...
"성급한 방역 완화, 백신 내성 바이러스 변이 위험 키운다"
연합뉴스
l
2021.07.28
수도 늘어나는데, 이 경우 바이러스의 적응 진화 능력이 향상되고, 한
숙주
에서 다른
숙주
로 이동할 때 RNA 분자구조가 변하는 '항원변이'를 통한 백신 내성 변이 출현 위험도 커진다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독성'(Virulence)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특히 어린이들이 백신 접종에서 제외되고 ... ...
"치명률 떨어졌는데 델타변이 위험 과장"주장에…전문가들 "위험하지 않다 판단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전파력은 강하고 치사율은 낮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한다. 바이러스는 사람을 비롯한
숙주
를 감염시키는 방법으로만 번식이 가능하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대개 기침이나 재채기, 콧물, 설사 등으로 바이러스를 다른 이에게 퍼뜨리는데, 치사율이 너무 높아서 빨리 사망하면 바이러스 ... ...
'바이러스 여름에 힘 못쓴다' 정설 깨뜨린 코로나19 전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이유로 인구 대부분이 면역력을 갖춰 바이러스가 더 이상 새
숙주
를 찾지 못하게 하는 집단면역을 강조한다. 영국과 스웨덴도 코로나19 확산 초기 백신을 맞는 대신 집단면역을 만들겠다고 선언했지만 일찌감치 포기했다. 고령자 사망률이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했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