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뉴스
"
시야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2015년 9월 28일 발사됐다. 중국국가항천국(CNSA)도 허블우주망원경보다 300배 더 넓은
시야
를 확보할 수 있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천톈(Xuntian)’을 2024년 발사할 계획이다. 우주망원경은 X선에서 적외선까지 다양한 파장대를 관측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 ...
26일 새벽 일렬로 선 태양계 행성 5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5개 행성을 직접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점은 26일 새벽 4시 30분쯤이다. 새벽 시간
시야
가 트인 곳에서 동쪽 하늘 끝에 수성부터 순서대로 다른 행성들이 일렬로 늘어서게 된다. 토성이 남쪽 하늘 위쪽에서 마지막 자리를 잡는다. 이들 행성이 일렬로 보이는 이유는 각 행성의 공전 궤도가 지구에서 ... ...
짙은 안개 껴도 사람·사물 뚜렷이 식별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8
인공지능(AI) 수준이 사람의 능력에 근접하고 있다. 다만 아직 날씨가 흐리거나
시야
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국내 연구진이 안개가 짙게 낀 날씨 속에서도 주변 사물을 명확히 구분해 내는 AI 학습법을 개발했다. 곽수하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은 ... ...
중국, 2023년 허블망원경보다 300배 넓게 보고 우주정거장과 도킹하는 우주망원경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거문고자리를 관측할 예정이다. 중국 연구진은 지구2.0이 케플러우주망원경보다
시야
가 5배 넓고, 케플러우주망원경 후속으로 발사된 우주망원경 ‘테스’보다도 더 어둡고 먼 행성을 관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구 2.0 프로젝트의 세부 정보는 오는 5월 초기 계획이 마무리되면 공개될 것으로 ... ...
내달 1일 새벽 4시 56분 금성과 목성 한 점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목성과 목성의 4대 위성, 금성까지 관측할 수 있다. 망원경 배율을 낮추면 망원경 한
시야
에 금성과 목성, 위성들도 함께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이달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강원 양구군 국토정중앙천문대와 공동으로 금성과 목성 근접 특별관측회를 개최한다. 강원 양구군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1) 누리호의 하늘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누리호는 발사 직후 시속 2만 7000km의 맹렬한 속도를 내며 날아가는데 발사 후 몇 초면
시야
에서 금새 사라질 정도로 엄청난 속도를 자랑한다. 관제소에서는 누리호가 예상 궤도로 나아가고 있는지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장치가 차량에도 사용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면 판단하지 말아야
2022.04.02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감정을 멋대로 판단하지 않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야
를 넓혀 감정을 널리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어떤 사람의 한 가지 모습만 가지고 그 사람 전체를 판단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은 행동이듯 감정을 대할 때도 이 감정의 한 가지 모습에만 치우쳐 전체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무엇을 위한 성실성인가
2022.03.26
모른다. 내 불행을 위해 깨야 할 것은 나의 게으름이 아니라 어느덧 좁고 단단해진
시야
일지도 모르겠다 .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내 편을 얻는 순간 상대를 해치는 죄책감에서 간단히 벗어난다
2022.03.12
보는 흑백논리와 자신이 주로 가는 인터넷 커뮤니티가 세상 전부라고 생각하는 좁은
시야
에 갇히게 된다. 아타리 교수는 “자신의 의견이 공유되고 받아들여진다”는 사실만으로 사람들은 그 집단에 충성하게 되고 집단의 이익을 위해 도덕적으로 잘못된 일까지도 서슴지 않게 된다고 언급했다. ... ...
[인터뷰]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03.12
초반으로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시기 과학자들과 미술가들은 실제로 교류하면서 서로의
시야
를 넓혀주기도 했죠. 지금은 키네틱아트, 미디어아트 등 과학적 현상 자체를 모티브로 작품 활동을 하는 미술가들이 있어요. 과학과 미술은 여전히 상호작용하고 있습니다.” 서 교수의 연구 분야인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