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설
건축
뉴스
"
신축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2021년 뜨는 첫 해는 유튜브로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구름이 낄 것으로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은 31일
신축
년 첫 해는 독도에서 가장 먼저 떠올라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새해 첫 해가 떠오른다고 밝혔다. 강릉 정동진에선 7시 39분, 제주 서귀포 성산일출봉에선 7시 36분에 첫 해가 ... ...
미 공병단 부지에 중앙의료원 격리치료병상 120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09년 소유권이 반환된 미 공병단 부지는 국립중앙의료원
신축
이전과 중앙감염병병원 건립 예정부지로 검토되고 있다. 현재는 관리주체가 국방부, 행정관청은 중구청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은 “국방부와 중구청의 협조로 미공병단 부지와 건물을 임시 코로나19 ... ...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12.19
위해 밀거래를 추적하는 가짜 알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3D 프린터에
신축
성 있는 폴리우레탄 소재를 넣어 바다거북 알과 똑같이 생긴 가짜 알을 찍어내고, 이 가짜 알 내부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GSM 송신기를 탑재했다. GPS-GSM 송신기는 실외와 실내 모두에서 위치 추적이 ... ...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21년
신축
년(辛丑年) 첫 해는 오전 7시 26분 독도에서 떠오른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7일
신축
년 첫 해는 독도에서 가장 먼저 떠올라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고 전했다. 해돋이 명소인 강릉 정동진에선 7시 39분, 제주 서귀포 성산일출봉에선 7시 36분에 첫 ... ...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다만 정전기는 마찰만 이용해 전기를 생산해야 해 웨어러블 기기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신축
소재도 늘릴 때만 전기를 만들 수 있어 다양한 동작에서 전기를 얻어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늘리거나 구부려도 전도성은 바뀌지 않으면서 형태만 변하는 새로운 전극 소재층을 개발했다.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에 상온에서 그래핀 에어로겔로 섬유를 뽑아내는 데 성공해 주목을 받았다. 가볍고
신축
성이 좋아 200%까지 늘어난다. 최근 김 교수는 스스로 납작해지는 그래핀 섬유를 만드는 데 성공해 ‘ACS 센트럴 사이언스’ 7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납작한 그래핀 섬유는 납작한 면 방향으로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⑩ 젊은이가 줄어드는 시대, 양극화 시대의 대학
2020.12.01
코딩’,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처럼 수요가 급증하는 분야에 대해 자율적이고
신축
적인 정원 운영을 허용해야 한다. 해외 사례와 같이 온라인 석사 과정을 확대하고, 성인 학습자들이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원하는 강좌를 여러 대학으로부터 수강하고 스스로 석사 학위를 설계할 수 있는 ... ...
피부에 붙여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유연성·효율성·대량생산 세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신축
성 기판으로 연결해 열전소자의 저항을 낮추고 유연성을 높였다. 이렇게 만든
신축
성 기판 내부에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입자를 넣어 열전달 능력을 기존보다 800% 가량 높이고 전력 생산량도 3배 이상 높였다. 연구팀은 이와 동시에 열전소자 인쇄공정을 자동화해 대량생산도 가능하게 만들었다 ... ...
구부리면 따뜻해지는 패치 개발…관절질환 치료 활용 기대
연합뉴스
l
2020.09.15
인쇄했다. 그 위에 열에 의해 색이 변하는 염료가 분산된 탄성 복합 소재를 코팅해
신축
성 있는 스마트 패치를 만들었다. 이 패치는 움직임에 의해 기판 주름 구조가 변형돼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열이 발생한다. 온도가 변함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띠고 얇아서 관절에 붙이면 관절 움직임에 ... ...
휘는 디스플레이 붙이는
신축
성 높은 투명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투명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고무줄처럼 형태가 변형된 뒤 곧바로 회복될 수 있는
신축
성 접착 소재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포스트잇이나 셀로판 데이프처럼 손으로 살짝만 눌러도 접착력을 갖는 ‘감압성 점착제’를 일종의 플라스틱인 아크릴산을 이용해 개발했다. 감압성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